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화교 2세대의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 현지조사를 통해 구성원들의 행위와 의식의 특징 및 이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고향의 의미와 정체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세계화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화교 동창들의 감정과 정서는 국경을 넘어 긴밀히 연결되고 있으며 이러한 초국적 체계 속에서 개개인의사고와 행동은 전 세계 동창회의 운영 및 동창회 성원들의 행동을 서로 간섭하거나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이 세계화의 변화된 상황 속에서 전혀 새로운 초국적인 시각들을 획득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동창모임의 운영 과정 속에는 동창 집단 특유의 구별 짓기 문화와 부모세대로부터 전달받았거나 깊게 문화화 된 ‘관시(關係)’의 원리들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으며 이것은 성원들 간에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이 동학 집단의 특징 가운데 주목할 만한 점은 이 화교 2세대들이 초국가적 공간의 중심을 점차 동창회에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과거 학교가 있었던 한국 혹은 부산이라는 장소는 이들의 정서와 감정에 점차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비록 이들은 부산 혹은 한국을 고향(home) 혹은 조국이라고는 느끼고 있지 않으며, 이는 어머니의 국적 등에 따라 비율로만 나타낼 수 있지만, 이들은 이곳을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공간이며 친구에 대한 그리움과 향수가 남아 있는 중심지로생각하고 있다. 또한 오늘날 화교 2세대들은 1세대와 달리 점차 ‘지관(籍貫)’이 있는 중국에 대해서 더욱 상징적으로 느끼고 있으며, 현실의 경제적이고 문화적인환경에 따라 한국 사회를 지속적으로 재규정해 낸다. 이러한 사례들은 화교 2세대들이 한국 사회를 과거 차별의 역사에만 한정짓지 않고 전 세계적 경제 및 정치적인 상황과 흐름들 속에서 파악해 가고 있다는 것과 이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고향의 의미 및 초국적 정체성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보여 준다.


This study discusses the behaviors and consciousness of second generation overseas Chinese and their ways of attaching various meanings to ideas of home and identity. The research is based upon fieldwork investigation of internet communities of overseas Chinese alumni. Globalized use of the Internet enables overseas Chinese alumni to share their feelings and emotions and to maintain close connections through Internet communities around the world. Within these transnational systems of communication, the individual’s ideas and behaviors can be viewed as either interfering with or supporting the collective behaviors of alumni associations and alumni around the world. However, it is hard for the alumni group members to acquire a completely transnational view in spite of these changed circumstances of globalization. Inside an alumni group unique distinctions are made on the basis of the cultural principles of guanxi(關係) which are passed down or enculturated from the parents’ generation. The extent to which the principles of guanxi are in operation is a topic of on-going debate among members of the alumni group. A remarkable feature of this alumni group is that the second generation of overseas Chinese locate themselves increasingly at the center of this transnational space of the alumni group. Accordingly, places outside of China such as Korea or Busan increasingly influence their feelings. Although they do not feel it as a home or their motherland and such feeling can only be represented in relation to the nationality of an individual’s mother, the alumni group members think this place is their birthplace and where they have grown up, so they see it as the center of longing for friends and feelings of nostalgia. In addition, unlike the first generation they feel that jiguan(籍貫) which is China is more symbolic furthermore, they consistently redefine their views of Korean society according to current economic and cultural circumstances. This suggests that the second generation of overseas Chinese understand Korean society in terms of global economic and political conditions and not just as a place of past discri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