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식민지 조선, 특히 경성이 영화 제작의 현지가 아닌 상영과 소비의 도시라는 기본적 전제하에 민족 간 영화 수요의 양상과 필름 검열의‘법역(法域)’논쟁을 통해경성의 특수성을 드러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1900년대 후반에 형성되기 시작한 경성의 극장가는 조선인 중심의 극장가와 일본인 중심의 극장가로 양분되면서 1920년대에 이르러서는 영화 상영과 소비에서 민족적으로 확고하게 편향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북촌 영화지구에서는 조선인들이 선호하는 서양 영화를, 남촌 영화지구에서는 일본인들이 선호하는 자국 영화를 각자의 모국어 해설을 통해 일상적으로 상영하고 관람하였다. 영화 수요에 있어 경성은 조선인만이 아닌 양 민족의 수요가 뚜렷이 견지된 곳이었다. 한편 조선인이든 일본인이든 조선 현지에서의 영화 제작활동은 매우 부진했으므로남북촌 영화관에서는 조선 제작 영화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화를 일본으로부터 들여와야했다. 경성의 영화 공급이 대부분‘내지’를 통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사이토 마코토(齋藤實) 총독은 1926년 8월부터‘활동사진필름검열규칙(活動寫眞「フイルム」檢閱規則)’을 시행하도록 하였다. 이 검열규칙에는 내무성에서 검열한 필름을 경무국에서 다시 검열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검열수수료로 청구한다는 조항이 포함됨으로써, 당시까지 일본을 통해 필름을 들여오고 상영하던 경성의 영화관 사업가들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예상되었다. 사업가들이 당국의 정책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종전까지 문제시되지 않았던제국/식민지 간 필름 검열의 법역이 새로운 쟁점으로 부각되었는데,‘ 조선은 내지의 연장’으로서‘내지’와 조선 간 필름 검열의 법역이 결코 다를 수 없으므로 검열수수료를면제하거나 인하하라고 요구한 사업가들의 입장이, 조선의 풍속과 관습 그리고 민심의경향은‘내지’와 다르므로 내무성에서 검열한 필름이라 하더라도 경무국에서 다시 검열해야 하며 이에 따르는 검열수수료도 당연히 부과해야 한다는 식민당국의 방침과 노골적으로 대립하게 되었다. 동일한 검열수수료 규정을 도입하고도 검열 법역과 같은 논쟁이 일어나지 않은 일본의 상황에 견주어 볼 때, 식민지 조선, 특히 경성은 일본과 확연히 다른 영화의 수입지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ndeavors to examine some of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film industry in colonial Korea, especially colonial Seoul (Gyeongseong, Keijo - ),during the period of the 1920s. In the first place, it needs to be noted that in spite ofthe vigorous consumption of films in the local market, domestic filmmaking wasquite limited both on the part of Koreans and the Japanese in colonial Korea, andtherefore, most films were imported from and via imperial Japan. Colonial Korea,especially colonial Seoul, was less a locale of film production than a film marketwhere exhibiting and viewing movies must have been predominant. However, localfilm demand was never exhaustive for Japanese movies alone. Rather, the filmbusiness in colonial Seoul featured dual characteristics. Whereas Koreans in thenorthern cinema district mainly exhibited Western movies for viewing by ethnicKoreans, the Japanese in the southern district showed Japanese movies for theircompatriots. Not only were cinemas in downtown Seoul sited according to the ethnicboundary of residential space, but features of cinematic culture, including screeningand watching, were also shaped by ethnic-linguistic terms. Colonial Seoul was met with a twofold demand for film consumption. Another aspect of the domestic filmindustry in colonial Korea concerns its heavy dependence upon the film industry ofimperial Japan, especially in film distribution. The newly introduced policy of filmcensorship fees, pursuant to the Film Censorship Law (Government-General LawNo. 59), was enacted by the administration of Governor-General Saito - Makoto onAugust 1, 1926, and it aroused a fierce reaction from film exhibitors and distributorsin colonial Seoul. In the course of the entrepreneurs’ campaigns to call upon thecolonial administration either to withdraw or to reduce the fees, it becamecontroversial whether films once censored by the Ministry of Homeland Affairs ofImperial Japan would also be valid for public exhibition in the colony without anyfurther censoring procedures by the colonial censorship board. Unlike the reaction oflocal entrepreneurs in Japan proper to the same policy of the fees, unprecedentedcontestation over the issue of ‘jurisdiction boundary’ in film censorship across theempire is suggestive of colonial Korea, especially colonial Seoul, as a film market forconsumption rather than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