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서울 종로의 인왕사라는 사찰을 중심으로 도시 속 무불습합의 문화적 경관을 검토하고 그러한 경관 형성의 역사가 가진 의미를 분석한 사례 연구이다. 기존 무불습합 논의는 양자 간의 공통분모를 추출하고자 하는 시도가 중심이었지만, 본고에서는 근대화 과정에서 도시로 진입해 온 사찰과 무속적 공간의 경합을 통해 현대 도시에서 양자의 공간적 배치가 어떠한 과정과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이를 통해 기존 무불습합의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근대화의 과정 속에서 무속과 불교의 관계를 논의하는 데 유의미한 사례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선바위의 사원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사찰의 적극적인 행위를 규명하지 못하고 무속 중심으로 이해한 선행 연구의 오류를 비판하고 불교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곳의 경관을 분석하고자 한다. 동시에 무속은 이곳의 경관이 공식 종교인 불교에 의해 압도되는 과정 속에서 어떻게 대응해 갔는지와 도시화 과정 속에서 무속인들이 인왕산과 어떻게 관계를 형성해 갔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현재 이곳의 경관이 사실상 불교가 전유한 것처럼 보이지만 무속인들의 주된 기도처로 활용되면서, 양자가 기도공간의 제공자와 그에 대한 경제적 부조라는 독특한 상호관계를 만들어 온 것임을 설명할 것이다. 이것은 곧 이곳의 경관 형성의 역사가 단순히 무속 중심으로 혹은 양자 간의 혼성으로 설명된다기보다는 양자 간의 경합과 공존 속에서 만들어지고 있음을 의미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landscape formation in the syncretism of shamanism and Buddhism in the city of Seoul, and its cultural meanings as revealed through the case of the Inwang temple village. Existing discussions on syncretism between shamanism and Buddhism mainly attempt to extract the common traits between the two. However, I will review the historical and cultural process of spatial restructuring through an analysis of “contested landscapes”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particular, I criticize the previous study which might fail to explain the various practices of temples through my analysis of the process by which seonbawi was transformed to become a part of temple and urban shamans adopted the religious order of Buddhism. Based on these explanations, I will depict the seeming appropriation of the physical landscape by Buddhism, while the place was also actually used as the holy space by shamans. Furthermore, the mutual appropriations are achieved by a unique correlation of both sides characterized as the provider of the space for prayers and economic assistance. Therefore, the landscape history and its cultural meanings of place-making can be described in the contestation and coexistence between both rather than being biased toward either 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