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금까지 공간의 문제는 전통적으로 철학이나 수학, 건축학이나 도시공학 등의 학문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공간을 인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학습의 장으로 인식할 경우 공간은 교육학적 관심의 사유체계로 들어오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공간을 사회적 공간으로 인식한 짐멜(G. Simmel)의 논의를 교육학적으로 해석하는 작업은 매우 의미가 깊다. 짐멜은 사회학적 공간 논의에서 ‘주체’를 강조하고 있으며 도시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공간 경험을 하면서 어떻게 인식작용을 일으키는지, 주체가 어떻게 도시와 공간속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지에 주목하고 있다. 그가 강조하는 ‘주체’의 문제, ‘공간 경험’, ‘인식작용’, ‘상호작용’과 같은 개념들은 공간사회학적 논의의 교육학적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짐멜의 이론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의 핵심에 속하는 친교는 질적 정체성과 양적 정체성 모두를 담보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며 이는 슐라이에르마허(F. Schleiermacher)의 교육이론과도 연결된다. 최근 평생학습도시나 마을만들기, 창조도시 등의 논의 속에서 공간기획의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짐멜 텍스트의 교육학적 의미를 이해하는 작업은 중요하다. 학습도시와 마을만들기, 그리고 창조도시를 통해 생성되는 도시속의 공간해석과 공간생산 행위는 대체로 시민들의 사회적 의미공동체를 염두에 두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매우 하드웨어적이거나 프로그램적으로 단순한 수준에서 검토되고 있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제 공간적 실천은 어떠한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공간들을 생산할 것인가를 염두에 두고 이루어져야 하며 도시공간의 이면에 놓여있는 사회적 맥락, 문화적 가치, 그리고 교육적 의미에 대한 논의를 함께 해갈 때 풍요로워질 수 있을 것이다.


Until now, spatial problems have been traditionally treated in studies such as Philosophy, Mathematics, Architecture, Civil engineering, etc. But, if the space is perceived as the place of social learning for human interaction, the space enters thinking system of pedagogical interests. Therefore, it's very significant to interpret pedagogically the discourse of G. Simmel who perceives the space as a social space. G. Simmel emphasizes 'subject' in the discourse on sociological space. And, he focuses how urban people make cognition during the spatial experience and how the subject can be formed by interaction in the city and space. The concepts he emphasizes, such as problem of ‘subject’, ‘spatial experience’, ‘cognition’ and ‘interaction’, show pedagogical relationship of spatial and sociological discourse. Especially, the friendship which is a core of social interaction in Simmel's discourse is an important concept which can guarantee both qualitative identity and quantitative identity and it is also related to Schleiermacher's educational theory. Recently, an importance of spatial planning is newly emphasized in the discourse of learning city, village creation, creative city, etc. Meanwhile, it's important to understand pedagogical meaning of Simmel's text. The behavior of spatial interpretation and spatial production in the city created by learning city, village creation and creative city doesn't consider citizens' social meaning community thoroughly, so it shows a limitation that it is on hardware or examined by simple standard for program. Now, spatial practice should be conducted by considering which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spaces will be produced and it will be plentiful when all of the discourses on social context, cultural value and educational meaning on the hidden side of urban space are performed 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