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대 신유가를 대표하는 牟宗三의 중국 현대화론[新外王論]은 梁漱溟熊十力에 비해 이론적으로 심화된 것이다. 그는 초월층에 속하는 도덕이성[良知]이 자기부정[坎陷]을 통해 현상계의 지성[과학민주]을 열어냄으로써 전통 유교사회가 현대화를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역사사회정치 등 사실세계의 문제들을 초월론적 가치세계로 귀결하고 유학을 초월론적 도덕 형이상학으로 파악한 것이다. 한 편 그 내성론의 핵심인 心學 중심의 新道統論은 “외향적 지식의 노선(順取之路)”을 추구한 程朱學과 “내면적 깨달음(逆覺體證)”을 추구한 陸王學 계열을 차별하여 후자를 계승한 熊十力과 자신의 철학을 정통 “生命之路” 또는 “生命儒學”으로 간주한다. 그의 ‘생명’은 자연생명이 아닌 도덕생명이고, 유학을 도덕종교로 규정하는 근거이다. 이것은 또한 그의 신외왕론이 실제 세계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이유이기도 하다.


The representative contemporary New Confucian philosopher Mou Zongsan(牟宗三)'s argument about modernization of China has theoretically more deepened from that of Liang Shuming(梁漱溟) and Xiong Shili(熊十力). Mou argued that transcendental moral reason(良知) vicissitudinary go through "Self Negation(坎陷)", and break the way for intellect which enable science and democracy to appear to the phenomenal world, so that traditional Confucian society could achieve modernization. But as a matter of fact, this assertion took historical, social, political problems as the realm of the fact into the transcendental moral noumenon as the realm of the value, so regarded Confucian philosophy to transcendental moral metaphysics. On the other, his new theory of "Confucian mantle(儒家道統)" as the core of “inward sagehood(內聖)” differentiated Lu-Wang school from Cheng-Zhu school, and look upon Xiong's and his philosophy which succeed to Lu-Wang as an orthodox "vital line(生命之路)" or "vital Confucianism(生命儒學)". Yet Mou's "vitality(生命)" is not natural vitality but moral vitality, and so, this factor convert Confucian tradition into moral religion. Undoubtedly for this, Mou's new theory of "outward governing(外王)" hardly exercise its influence over the real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