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겸재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겸재화법을 서구의 인상주의 화법과 비교 고찰하여 예술가의 독창적인 화법이 어떻게 근대성으로 발현되어 종국에는 다양성으로 분기 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20세기 근·현대미술의 지평을 새롭게 전개시킨 인상주의는 15세기 이후 르네상스의 사실주의에 천착한 재현성에서 벗어나 창작주체의 자율성이 강조된 사조로써 현대미술에 많은 영향을 끼친 바가 있다. 기실, 서구 미술의 역사에 있어 새로운 사조가 탄생 할 때는 기존의 사조들이 중요시 여겼던 사물관이나 가치관에서 벗어나는 특징이 있는데 조선후기 실경산수를 대표하는 겸재의 진경산수화 또한 중국 산수화의 모방에 머물러 있던 기존의 산수관에서 벗어나 개벽과 같은 그만의 스타일로 진경산수화를 완성하였다. 그래서 실경이라는 사실성에서 벗어나 대상을 재구성하여 자기화한 겸재의 진경산수화는 원근법에 의한 사실주의를 벗어나 화가 개인의 시각을 표현한 인상주의와 분명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기에 이들의 의도가 드러나는 화법을 통하여 비교 및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 논고의 전체적인 논의의 내용은 크게 둘로 나누었는데 첫째는 인상주의와 겸재화법이 시대적인 맥락에서 어떻게 근대성으로 만나질수 있으며 다양성으로 나아가는데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고찰하고 두 번째로는 구체적으로 인상주의를 대표하는 모네, 마네 , 쇠라, 세잔 등의 작품과 겸재의 화법을 비교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인상주의와 겸재화법의 공통점은 창작자의 개인적인 주관성이 화법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이것은 회화성으로 드러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크게 다시 4가지로 공통점을 보이고 있는데 첫 번째, 스케치풍 드로잉, 두 번째, 추상적 표현, 세 번째, 米點에 의한 중간 톤tone, 네 번째, 합성에 의한 파노라마식 구성과 다시점 등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s is compared impressionism with convergency of the art of drawing in south and north china reflected in Kyeom-jae jinkyoung landscape painting. Matter fact, before the appearance of impressionism, art is performed absolute standard of reality. That was the best of representing art. However the appearance of impressionism, much more art of drawing of impressionism brings on diversity contemporary art, which gave birth to today fine art. That why i’m focus with impressionism and art of drawing of Kyeom-jae in this paper, I’d like to analyze 4 point of view about Edouard Manet, Claude Monet, Paul Cézanne, Georges Pierre Seurat who representative of the impressionism and art of drawing Kyeom-jae convergency of the art of drawing in south and north china reflected in Kyeom-jae jinkyoung landscape painting which is various aspects of such as follows; sketching drawing, abstraction, middle tone and coloration, and multi view point. These are phenomenon presented in this paper are mainly concerned with the impressionism as common point. Even I separated by 4 category, I’m not pursuing define certain style. Actually style is one of the most elusive terms in art history. What constitutes style is hard to define. But, style has been considered an explanatory tool for visual and formal traits of an artwork. Formalism has excluded the painter’s active role in the choice of style from discussion of the nature of a painting. The inherent visual features of a painting are, in fact, inseparable from the painter’s self and identity. This last point is more meaningful to this paper. I think the painter’s self and identity is showed up by art of drawing. However Modernity of Korean art begun Kyeom-jae’ the art of drawing. For the purpose, I contemplated impressionism and Kyeom-jae’ the art of drawing than I discovered the Jin kyoung landscape painting’s already preceding flow Koran contemporary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