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조선시대에서의 양명학 존재 여부와 양명학 비판 양상을 『韓國文集叢刊』 등의 1차자료의 원전(문헌)들을 찾아 逆추적하여 그 의미와 성격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는 한국양명학에 대한 기존 연구 대부분이 문헌자료에 대한 出處나 典據없이, 임의의 어떤 인물을 설정하고 그 인물에 대한 양명학적 성격이나 특징을 규명하는 방향으로 치달아 왔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경학적 연구의 嚆矢라 하겠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문집총간』과 ‘김제문화원’에 소장되어 있는 1차 (원전)자료 안에서 ‘양명학 비판’과 연관있다고 판단되는 18人을 선별하고, 이들 문헌에서 논의되었던 양명학 비판 양상을 분석하여 조선시대의 양명학 비판 양상이 갖는 특징을 찾아보는데 주력하였다. 그런데 18인의 문집에 나타난 문헌자료를 찾는 것은 그 연구범위가 매우 광활함으로 인하여, 필자는 2011년 1차년도 旣연구성과로서 조선에 양명학이 유입되는 시기부터 ‘退溪’와 退溪門人 가운데 ‘서애 류성용’까지를 범위(7名)로 한정하고, 「조선시대 反양명학 문헌조사 및 추출을 통한 양명학 비판 내용의 성향 분석과 反양명학 사조의 흐름에 나타난 특징 연구(1)」라는 제목으로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으며, 본고는 그 두 번째 편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 후속작업으로서 17세기 ‘南溪 朴世采’로부터 18세기 ‘南唐 韓元震’, 그리고 19~20세기 초 ‘石亭 李定稷’에 이르는 10名의 유자들이 견지했던 양명학 비판양상의 문헌목록을 조사하고, 원전자료에 입각하여 그 특징을 찾아보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러나 방대한 원전(문헌)자료 목록과 분석이 병행되어야 함의 이중고를 극복하기 위하여, 拙稿에서는 反양명학 이론이 강렬했던 위 3명(박세채․한원진․이정직)의 문헌을 중심으로 論旨를 전개하였다.


This paper tries to recover and trace back the aspects of criticisms of Yangming studies in Joseon Dynasty through primary sources (documents, original works), such as “Korean Literary Collections (韓國文集叢刊)” etc. This can be considered the preliminary step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on Yangming in Korea in which the majority are carried out without sources or original references, only by choosing some optional figures a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thoughts on Yangming. Therefore the author selects 18 figures supposed to be related to ‘the criticisms over Yangming’ from original texts collected in “Korean Literary Collections” and ‘Kim Je cultural academy’, analyzing their criticisms over Yangming studies through their arguments in those documents and then fi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iticisms over Yangming studies in Joseon Dynasty. However, since the scope of the work of searching for documents compiled in those 18 figures’ collected works is really extensive, in 2011 the author had carried out the first part of the research which was limited to the period from the introduction of Yangming studies into Joseon, through Toe-gye (退溪) and his disciples, to ‘Seo-ae Ryu Seong Yong’, and this paper, named ‘Analysis of tendency of criticism over Yangming studies and research on characteristics displaying from anti-Yangming studies (through investigating and extracting anti-Yangming study documents of Joseon Dynasty)’ (1) can be considered the second part of this research. Therefore this paper, as the succeeding work, has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list of documents criticizing Yangming of 10 Confucian scholars, from Nam-gye (南溪) Park Se Chae (朴世采) in 17th century through Nam-dang (南唐) Han Won Jin (韓元震) in 18th century to Seok-jeong (石亭) Lee Jeong Jik (李定稷) who lived in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searching for their characteristics. However,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y of analyzing a large number of documents, the author would deploy the arguments focusing on the documents of 3 figures named Park Se Chae, Han Won Jin and Lee Jeong Jik whose anti-Yangming thoughts are truly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