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근대문학사 속에서 자리한 이무영의 농민문학은 농민들의 삶에 투영된 근대의 그늘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근대의 소설적 기록화라고 할 수 있다. 이무영의 농촌소설이 평가될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 인물이 보여주는 생동감에 있다. 농민을 소재로 한 많은 수의 작품들이 있었으나 이무영의 소설 속에 등장하는 농민들처럼 실감나게 그려진 경우는 드물었다. 농촌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 역시 이무영은 이기영, 심훈 등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이광수와 심훈은 계몽적 열정으로 실력 양성을 주창했고, 이기영은 농민들의 연대와 투쟁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면, 이무영은 이들 모두와는 달리 지주 계급의 자기부정과 반성, 그리고 소작계급의 용서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무영은 지주-소작, 양반과 상민의 문제를 사회 구조적인 차원에서가 아니라 정리(情理)적 차원에서 접근하고, 그 연장에서 해결의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우리 소설사가 「낙동강」(조명희)이나 『고향』과 같은 소설로만 채워져야 하는 것은 아니라면 이무영의 이런 작품들 역시 민족문학의 주요 자산으로 등재되어야 할 것이다.


Lee Moo Young's peasant literature having been grown in the current of modern literature is said to be a modern fictional record. His peasant literature can be highly evaluated due to the feeling of movement from characters, before everything else. Although there were a number of works about farmers, it is rare to have such a vivid character of his novels. Not only that, but the solutions to agrarian problems are also represented in a different way from other writers like Lee Gi Young or Shim hoon. While Lee Gwang soo and Shim hoon advocated education with passion of enlightenment and Lee Gi young tried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the farmers' strike and strife, Lee Moo Young tried to solve the problems through self-negation of the landowning classes and forgiveness of the tenant classes. Lee Moo Young approach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owners and tenant farmers and between the upper classes and the lower classes not in terms of social structure dimension, but with characters' heart, which led to find out solution to the problems. Unless Korean's history of literature should be filled with 「낙동강(Nakdong river)」 by Cho Myung Hee or 『고향(hometown)』, Lee Moo Young's works also need to be registered as a main asset of national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