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중국에서 출간된 한국어 교재들의 화용론적 오류 중 함축과 관련된 오류를 분석하는 것이다. 어떤 언어표현들은 일정한 내용을 고정적으로 함축하기도 하고 대화에서 전달되는 부수적인 의미도 있는데 이런 함축을 고려하지 않으면 의사소통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학습하면서 한국사회와 문화를 함께 받아들여 한국에 대한 이해의 바탕을 형성하게 되므로 화용론적, 사회문화적으로 정확한 한국어 사용이 제공되어야 한다. 국외의 학습자들에게 교재는 한국어 학습과 한국사회의 이해를 위한 중심 도구이므로 영향력이 더 크다. 중국에서 출간된 13종 교재의 회화 본문을 대상으로는 호칭과 지칭, 격식체와 비격식체 혼용을 대상으로 고정함축 관련 오류를 살펴보았다. 호칭과 지칭에서는 “아줌마”와 “아가씨”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줌마”는 한국사회에서 비하의 함축을 가지며 “아가씨”도 상황에 따라 부정적인 함축을 가진다. 중국에서 출간된 4종의 한국어 교재에 “아줌마”가 사용되고, 2종에 “아가씨”가 호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중국 출간 교재들은 격식체의 합쇼체와 비격식체의 해요체를 혼용하는데, 회화 내용과 대화자들간의 거리가 일치하지 않거나 사회적 관계에서 수용하기 어려운 경우들이 있다. 격식체는 대화자 사이에 거리가 있음을 함축하고 비격식체는 친밀함을 함축하는데 이런 고정함축이 배려되지 않아서 생기는 오류들이다. 손님과 서비스직 직원 사이처럼 사회적 지위에 따라 격식체와 비격식체 사용이 제약되기도 하는데, 이런 점이 고려되지 않아 수용가능성이 낮은 대화들이 제시되기도 한다. 중국 출간 교재에서는 청유형에만 “-읍시다” 형태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에서는 윗사람에게 비격식체인 “-(으)시지요”나 “-(으)세요”를 사용하기 때문에 윗사람에게 “-읍시다”를 사용하면 적절하게 대우하지 않는다는 함축이 발생하여 무례해진다. 친밀한 사이에서 청유형에만 “-읍시다”를 사용하면 화.청자의 거리감과 내용이 어울리지 않아 어색한 표현이 된다. 대화함축은 정보량과 관련한 것만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한 교재에는 필요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여 화자가 의도하지도 않은 대화함축이 발생할 만한 예들도 있다. 이해될 수 있는 상황에서 생략이 자연스러운 낱말을 생략하지 않거나 과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예기치 않은 부정적 함축이 나타난다. 외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화용론적 오류 분석은 학습자들이 정확한 한국어 사용을 알고, 한국사회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 필요한 교재를 개발하는데 기본적인 현황 분석을 위한 것이다.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pragmatical mistakes of Korean Textbooks which is published in China. Materials of this paper are dialogues in 13 kinds Korean Textbooks. Something regularly implicates fixed contents, has incidental meanings in dialogues. It probably produces an unexpected result in communication without having no regard consideration for dialogues. Pragmatic mistakes come from neglecting conventional implicature and conversational implicature are the center of our interest in this paper. In this paper, we will analyze three articles: Address and referent name, using of formal type endings and informal type endings, and information quantity. First and second articles are concerned conventional implicature. The third article is concerned conversational implicature . Address and referent name in Korean language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a barometer which does a listener the honor due to his position. “아줌마” implicates to humble herself. “아가씨” is alike. So in Korea society two words are restricted by using. But in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the two words are used as yet. Formal type endings and informal type endings have conventional implicature. It concerns social position, the distance of speaker and listener , speaker's character. Formal type endings use in formal situations so it implicates more distant between dialogue partners. Informal type endings implicate each other closely. In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the two endings are used randomly. So pragmatic mistakes are revealed on dialogues in korean textbooks. In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there are pragmatic mistakes concerned with propositive form“-읍시다”. They come from neglecting its implicature. Korean people thinks ill of propositive form“-읍시다”. Because it is not enough to persons honorific. It is second level of honorific level. But it often uses in the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Too much information also makes pragmatic mistakes. Attach a word, expressions are the source of the trouble.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pragmatical mistakes of Korean Textbooks which is published in China. Materials of this paper are dialogues in 13 kinds Korean Textbooks. Something regularly implicates fixed contents, has incidental meanings in dialogues. It probably produces an unexpected result in communication without having no regard consideration for dialogues. Pragmatic mistakes come from neglecting conventional implicature and conversational implicature are the center of our interest in this paper. In this paper, we will analyze three articles: Address and referent name, using of formal type endings and informal type endings, and information quantity. First and second articles are concerned conventional implicature. The third article is concerned conversational implicature . Address and referent name in Korean language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a barometer which does a listener the honor due to his position. “아줌마” implicates to humble herself. “아가씨” is alike. So in Korea society two words are restricted by using. But in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the two words are used as yet. Formal type endings and informal type endings have conventional implicature. It concerns social position, the distance of speaker and listener , speaker's character. Formal type endings use in formal situations so it implicates more distant between dialogue partners. Informal type endings implicate each other closely. In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the two endings are used randomly. So pragmatic mistakes are revealed on dialogues in korean textbooks. In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there are pragmatic mistakes concerned with propositive form“-읍시다”. They come from neglecting its implicature. Korean people thinks ill of propositive form“-읍시다”. Because it is not enough to persons honorific. It is second level of honorific level. But it often uses in the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Too much information also makes pragmatic mistakes. Attach a word, expressions are the source of the trou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