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독특한 시적 개성을 선보인 김종삼의 시를, 음악과의 관련을 통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실 시의 형상화 방식과 음악 기법의 연관성을 밝혀내기란 쉽지 않다. 언어를 매체로 하는 단형의 시(詩)는, 조가 바뀌며 화성에 의해 전개되는 음악과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물론 시도 행이나 연 혹은 단어나 문장 등의 반복과 병렬이라는 음악성에 기초해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그런 점에서 음악과의 친연성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나 복잡하고 정교한 음악의 구성에 비하면 소박한 수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는 본래 가창돼 왔고 그런 점에서 음악적 요소가 크게 작용하는 장르이다. 김종삼의 경우는 그것이 유독 강하다. 대위법이나 화성악 등의 기법이 김종삼 시의 제작에 일정량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기시부터 상실과 부재 같은 심리적 불안과 죽음의식이 시의 주조였는데 그는 이를 행과 행, 연과 연 등의 반복과 변주, 도치와 생략으로 나타냈던 것이다. 대략 세 가지 관점에서 음악과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는 캐논형식처럼 모방적 반복이 강한 작품이다. ‘A는 B이다.’의 형식을 반복하고 병치시켜 주제를 비교적 명시적으로 드러낸다. 두 번째는 세도막 형식처럼 시상이 3단계로 전개되는 작품이다. 이들 작품들은 주제를 제시하고 전개시키다가 다시 재현하는 소나타 형식과 유사했다. 음악의 경우처럼 주제가 하나 이상 등장하고 조바꿈이나 화성 등을 통해 풍부하게 악상을 전개하지 않지만 나름 정교하게 구성했다. 셋째는 대위법적이고 화성이 동반된 작품이다. 이런 유형은 선적인 전개와 수직적 조성에 의해 시의 의미가 더욱 강조되고 풍부해 졌다고 판단된다. 김종삼은 이런 반복적, 회귀적 음악적 구성을 통해 죽음의 의미와 그것의 성찰을 지속했다.


This article is the relevant of kim jong sam’s poetry and music. However, we figure out the relevance of the musical imagination and Poetry is not easy. Poetry as the medium of the language is different from the music, a change of tone, many appeared subject to be deployed by the law of harmony. This article, therefore, his musical principles and imagin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communicate to take advantage were reviewed loss of consciousness and death due to absence of the subject. He appeared such as annual and annual repetition and variation, inversion and omissions will appear as we placed. From three perspectives, We characteristics Kim jong sam’s poetry was identified. On first type is the work just like a canon which is mimetic repetition. Mainly ‘A is B’ repetition and juxtaposition of the subject through the structure is relatively explicit way. Second type, like the sonata form is a work that is deployed in three stages. These works are being presented topics to reproduce it again do edaga development was similar to the sonata form. Third type is, the work is accompanied by the law of harmony. Kim jong sam reflects the meanging of the death by recursive through musical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