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의 자발화에 나타난 한국어 자음 탈락 현상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100명(중급 50명, 고급 50명)의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자발화를 수집하고, 음절 구조상 위치와 인접음의 종류에 따라 어떤 자음이 주로 탈락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음에서 탈락되는 자음은 주로 종성 자음이었고, 초성 자음이 탈락하는 경우는 선행어의 종성이 모음 앞에서 연음규칙의 적용을 받아 음절 초성이 되는 경우로 한정되었다. 자음 탈락의 빈도는 자음 앞 환경에서 가장 높았고, 어말 위치, 모음 형태소 앞에서는 탈락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어말 위치에서는 폐쇄음과 유음의 탈락만이 관찰되었고 비음의 탈락 사례는 나타나지 않았다. 모음 형태소 앞에서는 유음 /ㄹ/의 탈락 빈도가 가장 높았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자음이 연쇄될 때 선행 자음을 탈락시키는 자음 연쇄 회피 경향을 보였는데 이 현상은 특히 선행 자음과 후행 자음의 조음 방법 자질이 다를 때 두드러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습득해갈 때 어떤 조음 제약을 지니는지와 발음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선택하는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고 보다 체계적인 한국어 발음 교육 방법론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deletion of Korean consonant in spontaneous speech data of Korean-learning Chinese. For this study, we collected natural utterances from 100 Chinese, including 50 intermediate and 50 advanced Korean learners, and investigated whether specific consonants were deleted based on syllable structure and sequence phoneme. Our results indicate that consonant deletions mainly occurred at syllable coda. And the most frequent consonant deletion at coda was found when succeeding syllable started with a consonant. We also found that only stop consonant and fluid were deleted at word-final position and fluid /l/ was the most deleted when succeeding syllable started with a vowel. The Chinese subjects showed coda-onset clusters avoidance when the two consonants have different articulation matter.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we were able to find the a clue which articulation constraints and strategies work when non-native speakers learn Korean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