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20세기 조선족아동문학을 대표하는 선집인 20세기중국조선족아동문학선집 1(아동소설편)에 수록된 작품들의 주요 특색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아동문학 연구에서 ‘디아스포라’ 아동문학을 고민하는단초를 제공하려 한다. 중국은 개혁개방이 진행된 이후 급속한 사회변화를 겪었다. 개혁개방은 폭발적인 경제성장을 불러왔지만 엄청난 빈부격차, 가치관의 혼란,공동체의 붕괴 등을 불러오기도 했다. 배금주의가 만연하여 도박이 성행했고, 경제문제로 인한 가정불화 탓에 이혼가정이 증가하기도 하였다. 국교 정상화 이후 많은 중국인들이 돈을 벌기 위해 한국으로 향했다. 이때 한국행을 택한 중국인 가운데 상당수는 조선족이었다. 한족을 비롯한 다른 민족에 비하여 언어장벽이나 문화장벽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한국행을 택한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중국으로 돌아가지 않음으로써 수많은 조선족 가족공동체가 붕괴되었다는 것이다. 이와같은 현실은 조선족 아동에게 크나큰 충격과 절망으로 다가왔다. 1980〜1990년대 조선족아동소설의 성취는 개혁개방의 이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한국과 중국의 국교 정상화 이후 한국행을통하여 가족공동체가 붕괴되는 것은 개혁개방의 폐해 가운데에서도 조선족 사회에서만 두드러진 특징이다. 그리고 그러한 현상이 야기한 최대의 피해자가 된 아동 독자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전하여 줄 수 있는 작품이 있다는 점은 조선족아동소설이 당시 상황에서 수행한 사회적 역할로볼 수 있다. 하지만 1980〜1990년대 조선족아동소설에는 보편적인 울림을 가질 만한 철학적 깊이나 인간적 성찰이 잘 보이지 않는다. 중국 사회에서 관심을 불러일으킬 만한 제재(주로 개혁개방의 이면)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당시 중국아동문학사에서만이라도 중요하게 자리 잡을 수 있는 작품이나올 수도 있었지만, 모든 작품이 조선어로 창작된 까닭에 그나마 중국아동문학사에 길이 남는 작품마저도 배출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his study aims to discuss ‘Diaspora’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research on main features of juvenile novels published in《The Anthology of Children’s Literature of Korean-Chinese in the 20th Century》. There have been so many social changes in China after Chinese economic reform. Chinese economic reform has resulted in a hug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chaos in traditional values, breakdown of communities,rage of gambling, and increase of broken homes due to economic problems. After the normalis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People's Republic of China, many Chinese nationals have left for South Korea to make money. Of these people, many were Korean-Chinese, who were relatively free from linguistic and cultural barriers. However, the problem was that a great number of these Korean-Chinese people did not return to China, and it caused a mass-scale family breakdown in the Korean-Chinese community. To Korean-Chinese children, such reality came about as a huge shock and disappointment. An achievement of juvenile novels of Koreans in China in the 1980s and 1990s is that they successfully depict the dark side of Chinese economic reform. Of the problems arising from Chinese economic reform, a mass-scale family breakdown in the Korean-Chinese community due to a huge out-flux of Korean-Chinese was a problem characteristic to the Korean-Chinese community. The fact that there were these juvenile novels that offered consolation and encouragement to Korean-Chinese children who were the biggest victims of such phenomenon was the social role that these novels played under the situation of the time. Unfortunately, however, juvenile novels of Koreans in China in the 1980s and 1990s do not show much philosophical depth or humanistic introspection that may bring about a universal reaction. As they have dealt with subject matters (mostly the dark side of Chinese economic reform) that could bring about interests in the Chinese society, it could have been possible for some novels to establish themselves significantly at least in the history of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And yet. it is deplorably sad that no such novel has been produced as they were all written in Korean on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