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티벳사태가 가까스로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던 2008년 5월에 발표된 『베이징-오슬로 건의서』는 향후 중국의 소수민족 언어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를 예측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베이징과 오슬로의 소수민족 언어정책 관련 전문가들이 공동 작업을 거쳐 베이징과 오슬로의 자국 정부에 보고한 『베이징-오슬로 건의서』는 중국 소수민족 언어정책에 대한 건설적인 방안들을 담고 있다. 인권보호, 문화적 다양성, 지속가능한 발전 등 국제사회 일반에서 통용되는 관념들을 중국이 수용했다는 점에서 일단 전향적이라고 할 수 있다. 『베이징-오슬로 건의서』에는 소수민족에게 언어 사용 관련 편의를 대폭 확대 제공할 것을 건의했다는 점에서 소수민족의 권익 보호에 긍정적이다. 그러나 언어의 권리를 소극적인 관점에서 언어 사용의 권리로만 해석하였으며 또 이중 언어 사용 시스템 구축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라는 논란거리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소수민족 언어정책의 미래를 불투명하게 한 측면도 있다. 소멸 위기에 직면한 약세언어를 보호한다는 건의는 건설적인 측면과 함께 중국 소수민족 문제의 본질을 왜곡시킬 수 있는 이중적인 기능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제사회에 대한 일종의 약속으로서 제안된 『베이징-오슬로 건의서』의 내용을 베이징 정부는 어떤 식으로든 향후의 소수민족 언어정책에 반영해 나갈 것이다. 이런 점에서 『베이징-오슬로 건의서』는 중국의 소수민족 언어정책 나아가 소수민족 정책 전반의 지향과 한계를 잘 보여준다.


n May 2008, “Beijing-Oslo Recommendations on Protection for the Rights of Linguistic Minorities” was publicly announced, while the Tibetan protest was entering the stage of unstable exhaustion. It implies how the Chinese ethnic minority policy will meander in the post-Olympic period. It contains several constructive points of future Chinese policy which were arranged through the cooperation of experts in the linguistic minorities both of China and Norway. First of all, it can be supposed to be positive in that it approved the concept of ’human rights protection’, ’cultural diversenes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had been popular in the political arena of global society since 1990’s. It showed affirmation of the protection of linguistic rights by recommending the enlargement of benefit of language use. However, it showed reluctancy of Chinese government by interpreting the linguistic right as a narrow one of language usage and by suggesting the controversial project of bilingual education to ethnic minority students which made the prospect of linguistic minority policy to be uncl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