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중국 산동성 위해 지역으로 이주한 한국화교들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전 지구화 시대 초국가적 이산민의 유동성과 그 정체성의 문제를 살펴보고 있다. 1990년 인천-위해 간 정기 여객선 개통으로 한국화교들의 위해 이주가 본격화되었다. 보따리무역에 의존하는 의류도매업의번창으로 위해 한국화교 사회가 빠른 속도로 커갔으나 이후 여러 가지 요인 때문에 위해의 상권이 축소되면서 쇠퇴의 길로 접어들었다. 이들의 이주는 모국/고향에 대한 향수나 갈망이라는 정서적 차원보다는 그 삶의 주변성 및 불안정성에서 기인하는 유동성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포용적인 화교정책을 통해 해외화교들을 그 국가적 기획 속으로끌어들이려는 중국정부의 노력은 중국에 대한 한국화교들의 인식을 매우긍정적인 것으로 전환시켰고 양자는 상호 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그것이 반드시 이들의 재중국화로 이어져서 중국적 정체성의 강화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때로는 현지 중국인들과 구분되는 자신들의 이질성에 주목하여 자신들의 다층적 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하기도 한다.


This paper, focusing on the case of Korean ‘Overseas Chinese’ in Weihai, China, looks at the mobility and identity of transnational migrant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migration of Korean ‘Overseas Chinese’ to their old home places like Weihai and Yantai in Shandong Province began in full force in 1990, with the opening of a regular ship route between Incheon and Weihai. These transnational migrants soon found a lucrative business in apparel trades and the Korean ‘Overseas Chinese’ community in Weihai expanded rapidly. Yet, due to various factors, this business went downhill and the community fell apart. The migration of Korean ‘Overseas Chinese’ to Weihai had not much to do with a nostalgia for the motherland or the home place, but was driven by the mobility of the marginalized and unstable people like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Chinese government provided these migrants with certain privileges and economic benefits, so that they could contribute to China’s economic development and stand in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PRC. This has changed their perception of communist China,from a fearful and dangerous state to a friendly one. Yet, this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their resinicization. They often notice some critical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local Chinese and themselves,which makes them put their multi-layered identity in a new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