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국실학은 이민족의 통치로 인한 인식론적 성찰로부터 발생했다. 그 대표자로서 고염무는 삼대의 정치와 왕자의 출현을 기대하는 동시에 현실군주의 정치적 역량으로 체제의 공고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개혁을 요구했다. 이 점에서 동시대의 유형원으로부터 시작되는 조선실학은 중국실학의 인식론과 실천론적 대안을 공유한다. 17세기 동아시아의 변동과정에서 수평 이동했던 정치적, 인식론적 대안들 중 무엇을 공유하고 무엇을 달리 하는 것일까? 조선실학의 정치적 이상상은 왕정실현이라는 목표를 담고 있으며, 주례적 질서로의 복귀라는 중국실학의 정치적 의도와 목표를 공유한다. 하지만 조선실학자들은 동시대의 중국실학이 제시하는 개혁론의 출발점과 과정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즉 조선실학자들은 성공했던 조선의 원형적인 통치기제를 회복하려는 의도를 목표로 했던 반면 실현 불가능한 중국의 정치적 규준과 이상을 추구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그것은 진보적이고 근대적이어서 또한 조선에서 수용할 수 없는 정치적 규준과 이상도 아니었다. 그것은 기존의 통치기제가 가졌던 장점과 순기능, 즉 합리성을 다시 회복하겠다는 자신의 시대적 요구에 충실한 반응이었을 뿐이다.


Chinese shixue originated from the epistemological reflection in the reign of manchurian dynasty. Gu Yanwu, who was a founder of Chinese shixue and a author of Rizhi lu, expected revival of Three Dynasty and Benevolent Ruler and demand the institutional revolution for consolidating political ability of prince in real politics. From this, Chosun shil-hak and Chinese shixue came together their epistemological alternative and praxis. What were those? The political vision of Chosum shil-hak and Chinses shixue oriented toward Benevolent Government and revival of Zhou-li order. But Chosun shil-hak had a different proto-type. That was regime of Kyungkuktaejon. Therefore Chosun shil-hak corresponded with demands of those days to revive the rationality of ruling mechanism which was successful in the p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