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들이 장기요양보험서비스에 대한 소명의식과 직무만족의 수준을 알아보고, 장기요양보험서비스의 소명의식이 각각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9년 9월 충청남북도 지역에 노인장기요양보험서비스기관의 요양보호사 142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가 인지하고 있는 소명의식은 3.43, 직무만족은 내재적 직무만족이 3.90, 외재적 직무만족이 3.38, 그리고 일반적 직무만족은 3.54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반적인 소명의식의 수준을 살펴보면 연령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내재적 직무만족도, 일반적 직무만족도의 경우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종속변수인 일반적 직무만족과 그 하위차원인 내재적 직무만족, 외재적 직무만족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는 모두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직무만족을 종속변수로 한 경우,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이 내재적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재적 직무만족의 경우, 일반적 특성 중 결혼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직무만족을 종속변수로 하였을 경우, 일반적 특성 중 성별, 결혼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to work satisfaction of care givers who are participated in Long Term Care Insurance Service. In this paper, the factors are limites on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to explore the significant reasons to determine the work satisfaction of care giver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ed:First, the result of the showed that work satisfaction, the belief in public service, and the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are rather good. Second,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care giver's job satisfaction are the marital status, sex, and belief in public service. This fact show it is statistically seemed that a caregiver who is female, married, and has a firm belief in public service is more satisfied with her job. The result of this thesis are as followed:Firt, it is needed for caregivers to level up belief in public service. They directly face and carry out the service to the elders and their family members; that means performance is the key for the success of Long Term Care Insurance. According to this research, we need to find the way to increase the standard of their in public service because it because it plays the important role in the job satisfaction. Also. it is needed to supplement the curriculum included the identification ir the specific job concept such as the belief in public service. At this moment, the education for the new caregivers focuss only on the skills which can be used for the serv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aper that their concept to the job influences a lot to the job satisfac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ir belief in public service by adding new curriculum. Finally, the proper working condition for caregivers needs to be offered. The working environment can affect significantly their job satisfaction, specially the extrinsic factors to provide comfortable and utility space in the office, to connect with community resources, and to offer consistent self-training ch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