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상생활의 제한이 있는 가족원을 돌보는 부양자 역할로의 전이가 부양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중재할 수 있는 요인으로 사회적 유대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유대는 배우자와의 관계 만족도,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 이웃(친구)과의 접촉 등의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2006년과 2008년 두 차례에 걸쳐 자료수집이 완료된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이며, 2006년 당시 만 45세 이상의 중․고령자 총 8,68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1차년도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 그리고 기타 사회인구학적 변수들을 통제한 ‘시차내생변수를 포함하는 모델(Models with Lagged Endogenous Variables)’을 통해 분석한 결과, 부양자로의 역할 전이는 부양자의 우울 수준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양자로의 역할 전이가 이루어지기 전에 부양자가 배우자나 자녀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느냐에 따라 역할 전이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지는 중재효과가 발견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longitudinal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transitions to the caregiver role of caring for family members with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limitations effected the depression level of middle aged and elderly caregivers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influence due to the transitions to the caregiver role varied depending on the caregivers' social ties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a spous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interaction with friends and neighbors) and whether their social ties could moderate the depression level of the caregivers. Data from 2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2006-2008 were used for this analysis. A sample of 8,688 aged 45 years or older was selected(caregivers=121; non-caregivers =8,319).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s(lagged effect models) controlling for mental and physical health at time 1, and several demographic variables were estimated. Results suggested that the transitions to a caregiver role had an effect on the depression of caregivers. That is, the transitions to a caregiver role were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depression. It was also shown that the satisfaction in the caregivers’ relationships with their spouses or children before the role transition took place influenced and moderated the amount of depression due to the transitions to the caregiver r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