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급속하게 증가하는 다문화가족들의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실천경험의 본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총 2개 그룹 11명의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포커스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모두 전사한 후 코딩과정을 거쳐 내용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 6개의 주제, 18개의 범주, 40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6개의 주제는 ‘막막함: 아무런 준비 없이 다문화가족 정신건강 실천을 경험함’, ‘꺼려함: 스스로 접근하기가 꺼려짐’, ‘답답함: 다문화가족 정신건강 접근이 어려움’, ‘복잡함: 복잡하여 다면적인 접근이 필요함’, ‘시도함: 실천과정을 통해 하나하나 터득해 나감’, ‘노력함: 두 영역을 넘나드는 역량이 필요함’ 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들은 다문화와 정신건강 두 영역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서비스체계의 낮은 연계성으로 인해 실천과정의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며, 이 과정에서 이중영역에 대한 자기인식과 역량강화의 필요성을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실무자들의 정신건강 역량강화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who have worked with multi-cultural families both in mental health service setting and general social service setting. In doing so, we also pursued cultural competence enhancement of the practitioners. Focus groups with 11 social workers who have working experiences with multi-cultural families were held for in-depth interview,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it seemed to be ‘Helplessness : Experiencing the mental health practice for multi-cultural family without any preparation', 'Reluctance: Reluctant to make an active approach', 'Stuffiness: Experiencing difficulty in working mental health problems to multi-cultural family', 'Complexity: Requires multilateral approach due to its complexity', 'Attempt: Learning step-by-step through process of practice', 'Exertion: Requires capability to cover two different fields of study'.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