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최접점에 있는 읍․면․동을 통합할 경우, 주민접근성이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탐색함으로써 최근에 제안되는 전달체계 개편 모형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리시, 안산시, 파주시, 남양주시 4개 시를 중심으로 사례관리대상자와 읍면동과의 거리를 Q-G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민접근성의 변화 수준을 측정하였다. 읍․면․동의 통합 모형은 소극적 모형과 적극적 모형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소극적 모형은 현 읍․면․동 4개당 1개의 거점화된 읍․면․동을 설치하는 모형이며, 적극적 모형은 현 읍․면․동 3개당 1개의 거점화된 읍․면․동을 설치하는 모형이다. 분석 결과, 소극적 모형을 실시할 경우 중소도시, 대도시, 도농복합지역 모두 물리적 거리가 최대 2배 이상 증대할 만큼 주민접근성이 악화되었다. 반면, 적극적 모형을 실시할 경우 중소도시의 경우 물리적 거리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도시나 도농복합지역은 적극적 모형을 실시하더라도 물리적 거리가 2배 가까이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복지업무를 수행하는 거점화된 읍․면․동을 설계하는 전달체계의 변화를 구상할 때 도시의 특성과 규모를 동시에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redicts the geographical access to the public community service center under the asuumption of the public community service centers. Two models measuring the geographical access to the center were designed : a passive model and an active model. The passive model represents a model which produces one community service center integrating 4 centers. The active model represents a model which produces one community service center integrating 3 centers. The GIS analysis compared the direct distance from the house of case management recipients to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among the existing model, the passive model, and the active model of 4 cities, Guri, Ansan, Pajoo and Namyangjoo. This study found that the passive model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he geographical access by more than two times among 4 cites from the present location of the public community service center. The active model did not show the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 geographical access from the present location of the public center in the small and medium-size city. However, the large-size city and the urban-rural complex city experienced the increase of the geographical access by more than two times under the active model. The geographical access by the types of cities should be addressed when the integration of the public community service centers was plan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