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자원봉사의 기본방향을 토대로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자원봉사참여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지역주민들의 자원봉사정책에 대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할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자원봉사정책에 대한 신뢰성, 타당성, 적응성, 실효성에 대하여 지역사회주민의 인식을 분석하여 자원봉사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신뢰성분석에서 개인특성변수인 연령, 전체자원봉사기간, 정책대상자와 정책담당자에 대한 신뢰, 문제해결의 신뢰 변수가 자원봉사정책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타당성분석에서는 개인특성변수인 학력, 자원봉사시간(월), 전체자원봉사기간 변수와 개선가능성 변수가 자원봉사정책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적응성분석에서는 개인특성변수인 성별, 전체자원봉사기간, 업무의 접근성에 따라 담당자와 대상자들이 느끼는 정책의 적응강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효성분석에서는 개인특성변수인 학력, 전체자원봉사기간, 정책의 효과, 직접적인 효과 변수가 자원봉사정책 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지자체의 자원봉사정책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첫째, 자원봉사정책에 대한 명확한 지침과 관리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원봉사정책에 대한 의사결정자들의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지자체는 자원봉사를 통한 지역문화의 창출이라는 대전제에 대하여 실천적인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역의 부족한 물적․인적자원을 상호보완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하여 교류협력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다섯째, 따라서 지자체의 자원봉사 전담부서 및 독립된 기관(자원봉사센터)의 적극적인 업무태도 및 인식전환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Based on the basic direction of volunteer, there is need to discuss local residents’ willing participation in volunteer. Concretizing this should be preceded by local residents’ awareness of volunteer policy.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role of local authority for volunteer by analyzing the community residents’ perceptions on credibility, validity, adaptability and effectiveness on the local authority’s policy of volunte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as to credibility, evaluation on the policy of volunteer was influenced by age, which is a variabl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otal period of volunteer, confidence in the target people and the person in charge of policy, and reliability on solving problems. As to validity, the evaluation was influenced by education of personal trait, time(months) of volunteer, total period of volunteer, and possibility of improvement. As to analysis of adaptability, adaptability to policy felt by the person in charge and target people of policy was varied by gender as personal trait, total period of volunteer and accessibility of duties. As to effectiveness, evaluation on the policy of volunteer was influenced by education of personal trait, total period of volunteer, effect of policy and its direct effects. Besides, to improve the local authority’s volunteer policy, first, there is need to introduce a clear guideline and management system on volunteer policy. Second, decision makers should have an in-depth discussion on volunteer policy. Third, local authority should present practical alternatives on the major premise of creating local culture through volunteer. Fourth, there should be a positive discussion on exchange and cooperation in order to fill the lacking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of a region complementarily. Fifth, accordingly, there should be a positive effort to change their work attitude and awareness on the part of the local authority department in charge of volunteer and an independent institution(volunteer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