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네스트로이의 거의 모든 드라마에는 사랑하는 여성에 의해 배반내지 기만당하여 마음의 깊은 상처를 입고 고통당하는 남자 주인공이 등장한다. 경박하고 유흥과 사치, 화려한 귀족생활에 눈이 멀어 사랑과 신의를 저버리는 여성 인물 또한 그의 작품에서 자주 등장하는 전형적인 인물이며, 이러한 여성인물의 특징이 네스트로이를 떠난 첫째 부인인 빌헬미네의 성향과 유사하다는 점은 상당히 의미 있게 여겨진다. 바로 이러한 특성에 주목하면서 네스트로이의 드라마들을 남녀 인물의 관계를 중심으로 연대기적으로 관찰하고, 사이코드라마적인 내적 치유과정과 네스트로이 드라마와의 긴밀한 연관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에 이르게 된다. 우선 작품상에서 상처받은 남성 인물들이 표출하는 감정의 변화과정은 1. 분노와 멜랑콜리-2. 체념과 수용-3. 이해-4. 용서-5. 화해라는 일련의 심리학적 힐링의 과정과 일맥상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발견되는 또 다른 특징은 바로 네스트로이가 인물을 창조하는 작가로서, 연출가로서, 그리고 연기자로서 직접 작중 인물에 부여한 역할에 따른 무의식적인 ‘사이코드라마적 기법’의 사용이라고 할 수 있다.


Wenn die Verhältnisse zwischen Männer- und Frauenfiguren in Nestroys Werken in Bezug auf Psychodrama analysiert werden, findet sich ein enges Verhältnis zwischen seinen Werken und Nestroy als einem innerlich verletzten Mann. Werden Nestroys Stücke vom Standpunkt psychologischer Theorien aus betrachtet, so wird verständlich, dass Nestroy selbst insbesondere durch die Rolle des Mannes in den eigenen Dramen diesen Heilungsprozess erlebt: Mittel hierbei sind Rollenspiele, Hilfs-ich, Rollentausch, Verdoppelung, Spiegelung, Ersatzrollen und Surplus(überschüssige) Realität. Nestroy erlebte die ‘psychologische Reproduktion’. Er begegnete dem eigenen Trauma in seinem Spiel wieder. Für die innere Heilung ist diese Wiederbegegnung notwendig, wie Psychologen betonen. Seine Rolle ist die sogenannte persönliche Erzählung seines Traumas. Die Theater- und Schauspielkunst funktionieren bei Nestroy als ein Mittel für die positive Veränderung von innen und für die Reife der Per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