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Regime transitions provide a rare opportunity for political actors to create or convert the process of selecting political power. On institutional choices at such a juncture rational choice approaches have been dominant. This article wants to bring up to the front historical preconditions that shape and constrain incentives in such a rational choice. I examine the case of the 13th National Assembly Elections in Korea in 1988. Previous studies, including Brady and Mo(1992) in particular, show that the choice of electoral institutions at that time was mostly based on the ruling party’s rational calculations, which was especially influenced by the just prior presidential election results. This study accepts many of findings by those previous studies. However, by considering some historically constraining preconditions, including the type of preceding authoritarian regime among others, and further examining contextual factors, this article adds importance of some other factors and emphasizes the role of conditions that critically affected the direction of strategic choices by political actors of the time.


체제 이행은 정치 행위자들이 정치 권력 선택을 위한 제도과정을 창조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제도 선택 과정의 연구에 있어서는 합 리적 선택의 접근이 많다. 이 논문은 이러한 합리적 선택을 기실 형성하고 제한하는 유인을 제공하는 역사구조적 조건들의 영향을 드러내려는 사례 연구이다. 1988년 제 13대 총선은 정초선거였는데, 브래디와 모종린(Brady & Mo, 1992)은 이 때의 선거 제도 개정이 바로 직전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의 결과에 주로 영향을 받은 집권 엘리트의 합리적 선택이었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당시 한국의 여러 역사구조적 조건 과 상황적 맥락 등을 고려하여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한계를 비판하고, 당시 정치 엘리트들의 선거제도 선택에는 역사구조적 제한조건들이 결정적이었음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