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적은 쥬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정치(a politics of the performative)’ 이론이 우리의 민주주의 정치 및 그것을 탐구하는 정치학에 기여하는 바와 그것의 이론적 한계를 밝히는 것이다. 문화적 구성주의, 비주권적 언어행위와 언어주체, 그리고 언어의 행위대리와 수행성이라는 세 가지 이론적 전제를 가지고 있는 그녀의 수행성 정치 이론은 성적 소수자뿐 아니라 모든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치이론, 즉 ‘정체성의 정치’ 혹은 ‘차이의 정치’의 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후자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녀는 기존의 젠더구조에 입각한 규범 및 관행들이 사회 내 성적 소수자들에게 인간다운 삶을 향유하기 어렵게 하는 제 조건들을 부과한다는 비판적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는데, 이것은 그녀로 하여금 ‘우리가 인간다운 삶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는 실천적인 문제를 탐구하도록 이끌었다. 수행성 정치이론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이론적 기획의 일환이었다. 성격상 버틀러의 이론은 차이의 정치학 패러다임으로서 문화적 소수자 집단이 보편적 인권의 이름으로 자신들의 시민적ㆍ정치적 권리를 정당하게 요구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요즘처럼 다문화주의적 정치풍토에서 그것의 이론적 유용성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나아가 그것은 문화적 소수자 집단이 기존의 담론체계에 가담하는 논쟁적 민주주의 즉 그녀의 용어상 “급진적 민주주의”의 정치적 이상을 제시하는데, 이는 정치이론적 차원에서 참여민주주의 논의의 외연 확장을 의미한다. 그러나 버틀러의 수행성 정치가 표면상 강력한 정치적 실천성을 담보하는 이론으로 보일지라도 그녀가 수행성이라는 추상적 개념범주에 과도하게 실천적 희망을 부여하고 있다는 사실이 정치이론적 약점으로 지적된다. 이는 버틀러의 이론이 인정투쟁 양상에 집중함으로써 부의 재분배를 둘러싼 보다 일상적이고 현실적인 갈등양상과 타협적 해결방식의 정치적 효과를 간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버틀러의 수행성 정치이론의 과제는 그것의 실천적 지향과 달리 하나의 규범이론으로서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라 하겠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its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Judith Butler's theory called ‘the politics of the performativity.’ In my view her theory based on her three theoretical premises, that is cultural constructivism, non-sovereign speech-act and linguistic subject, and linguistic agency and performativity can be categorized into a political theory either of politics of recognition or of difference, taking sides with the sexually marginalized, socially disadvantaged, and/or excluded. Yet it is argued in this paper that it appears to be the latter. Butler's basic problematic is that social norms, conventions, and practices impose a set of conditions that deny social minorities a livable life. In this connection she asked ‘What should we do to enable them to have a livable life and how?’ and her theory of performativity precisely is an answer to the question. As a politics of difference paradigm her theory not only offers much support to the current multicultural social practices, but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to those cultural minorities who rightfully demand fuller civil and political rights under the cover of universal human rights claims. Butler claims that her theory is meant to bring an ideal of “radical democracy”embracing all cultural contentions into reality. From my point of view, however, her most valued contribution is extension of our understanding of participatory democracy in both theory and practice. Nevertheless her theory is not without limitations. It is widely criticized that unlike her theory displaying a level of strong practicality at least ostensibly, it is in fact a normative theory which usually misses out a link between theory and practice. For one thing, she has invested too much hope in her pivotal but abstract concept, performativity, which is assumed to have no definite and identifiable subject in 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