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기존 「소학」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중종(中宗)시대 사림(士林)과의 연관선상에서 「소학」의 의미를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소학」에 대한 존숭 의식은 이미 조선 전기 관학파들도 공유하고 있었다는 사실과 더불어 실천윤리를 강조하고 있는 「소학」 책의 성격을 고려해 본다면, 「소학」은 사변적 측면을 강조했던 사림 시기의 유학보다는 오히려 조선 전기의 실천적인 유학과 더 정합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사림보다 앞선 시기, 그 중에서도 특히 세종(世宗)시대에 이루어졌던 「소학」 보급의 양상을 확인하고, 그 속에서 「소학」이 가지고 있었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민풍(民風)’과 ‘사풍(士風)’이라는 개념에 주목할 것이다. 「소학」의 대상은 민(民)과 사(士)의 두 계층으로 나뉠 수 있으며, 「소학」은 이러한 인민의 풍속과 선비 및 관료의 기풍을 교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세종시대에는 수성기로 진입했던 시대적 배경 속에서 드러나기 시작한 민풍과 사풍의 문제를 해결해기 위해 「소학」을 통한 교화가 시도되고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 주목하고 싶은 것은 사표(師表)로서의 세종(世宗, 재위 1418∼1452)의 역할이다. 세종은 학문과 수기를 통해 정치의 장에서 신하들보다 우위를 확보했으며, 이를 통해 사표로서의 역할을 자임하고 신하들과 백성들에게 「소학」을 보급했다. 세종시대 「소학」의 보급에는 군주와 신하로 이루어진 권력관계 속에서 군주로서의 권위를 확립하고 정치를 주도해 나가는데 「소학」이 활용되었던 측면이 존재했던 것이다. 이러한 세종시대 「소학」 보급의 양상은 중종시대에 사림들이 「소학」을 보급했던 것과는 정반대의 모습을 보여준다.


The existing studies have found the meaning of 「Sohak(小學)」 mostly correlating with Sarim(士林) in the era of King Jungjong(中宗). But given practical ethics of 「Sohak」 and Kwanhakpa(官學派)'s reverence about 「Sohak」, 「Sohak」 has more congeniality with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So this article aims to find the meaning of 「Sohak」 throughout verifying the aspects of the propagation achieved in the era of King Sejong(世宗). For that,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concepts of ‘Minpung(民風)’ and ‘Sapung(士風)’. The targets of 「Sohak」 are divided into two classes of Min(民) and Sa(士) and 「Sohak」 aims at enlightening both target. The era of King Sejong was the time when it is tried to fix the problem of Minpung and Sapung magnified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Suseonggi(守成期). Especially this article tries to focus on King Sejong's role as Sapyo(師表). King Sejong was outstanding in learning(學問) and self-cultivation(修己) during his own reign, and he could hold a dominant position in the area of politics. He fancied himself Sapyo and propagated 「Sohak」 to Min and Sa. In the relation of the power organised with sovereign and subject, King Sejong could establish his own authority and lead the politics throughout utilizing 「Sohak」. This aspect of the propagation of 「Sohak」 in the era of King Sejong is the negation of Sarim's.


The existing studies have found the meaning of 「Sohak(小學)」 mostly correlating with Sarim(士林) in the era of King Jungjong(中宗). But given practical ethics of 「Sohak」 and Kwanhakpa(官學派)'s reverence about 「Sohak」, 「Sohak」 has more congeniality with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So this article aims to find the meaning of 「Sohak」 throughout verifying the aspects of the propagation achieved in the era of King Sejong(世宗). For that,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concepts of ‘Minpung(民風)’ and ‘Sapung(士風)’. The targets of 「Sohak」 are divided into two classes of Min(民) and Sa(士) and 「Sohak」 aims at enlightening both target. The era of King Sejong was the time when it is tried to fix the problem of Minpung and Sapung magnified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Suseonggi(守成期). Especially this article tries to focus on King Sejong's role as Sapyo(師表). King Sejong was outstanding in learning(學問) and self-cultivation(修己) during his own reign, and he could hold a dominant position in the area of politics. He fancied himself Sapyo and propagated 「Sohak」 to Min and Sa. In the relation of the power organised with sovereign and subject, King Sejong could establish his own authority and lead the politics throughout utilizing 「Sohak」. This aspect of the propagation of 「Sohak」 in the era of King Sejong is the negation of Sari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