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새마을운동 추진과정에서 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용이하게 한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새마을운동에 대한 이분법적 평가를 지양하고 1970년대 시행되었던 새마을운동의 행정추진체계와 마을 단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새마을지도자를 비롯한 지방관료 및 마을주민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신뢰와 공동체의식을 종속변수로 하고 설명변수로서 새마을지도자의 역할 그리고 정책추진체계와 과정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정부주도의 새마을운동이 하향식 개발모형에서 상향식 개발방식으로 전환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새마을운동이 발전도상국의 자립적 지역사회개발모델로 정착되기 위한 본질적 가치를 밝혀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연구의 배경과 목적, 그리고 사회자본의 구성요소인 신뢰와 공동체의식이 지역사회개발에 미치는 영향력과 상향식개발 대한 이론적 논의를 하였다. 그리고 문헌연구로서 새마을지도자의 역할, 새마을정책추진체계와 이해당사자들의 역할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하향식개발이 상향식개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새마을지도자와 추진체계의 역할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는 것으로 논문을 구성하였다. 1970년대 경제・정치・사회 환경에서 새마을운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요인을 정리하면 다음의 몇 가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최고정책결정자와 정부의 강력한 정책추진 의지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공무원과 행정조직 간의 유기적 관계를 바탕으로 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통한 하향식 개발이 상향식 개발로 전환되고 자립적 농촌개발 모형으로 진화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셋째, 새마을지도자의 리더십을 포함하여 마을지도자들은 궁극적으로 사회자본의 구성요소인 신뢰와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서 새마을운동이 대표적인 한국의 농촌 지역사회개발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