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찍이 20세기 말부터 소위 ‘지식경제’라는 새로운 현상이 두터운 중산층에 기반을 둔 전통적 대량생산모델을 몰아내고 있다. 지식경제에서는 제품의 설계와 생산과정에 다양하고 계속 증가하는 새로운 고도의 지식이 중간소득계층(또는 중산층)의 일자리를 몰아내어 소득의 양극화 현상을 초래한다. 이러한 현상은 선진세계의 전통적 보수당이나 노동당 모두에게 정치적으로 부담스러우나 그들의 전통적 정책으로는 해결하기 어렵다. 유럽에서는 이러한 틈을 타고 무분별한 소득재분배를 주장하는 포퓰리스트 정당이 등장했다. 소득재분배가 2016년 미국 대선과 2017년 한국 대선의 프레임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 서구의 몇몇 운 좋은 선진국들은 하류층에게 너그러운 임금보상을 제공하는 일련의 특별한 정치구조를 가졌다. 그러나 그것을 다른 지역에서 복사하기는 어렵다. 상당수의 선진국들이 최저임금의 대폭 인상으로 양극화에 대처하고 있고 한국의 야당도 이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이것은 장기적으로 경제성장과 일자리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미국과 영국은 노동자를 그들이 일하는 기업의 주주로 만들어서 소득의 양극화를 극복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우리나라도 도입할 수 있고, 약간의 교정을 가한다면 크게 권장할만하다.


Sine as early as late 20th century a new phenomenon of so-called ‘knowledge economy’ has been abolishing the traditional Fordist production model based on voluminous middle class. Knowledge economy has been awash with a variety of ever-growing new and high-end knowledges, which has ever been creating income polarization by driving middle-income jobs out of production line. This phenomenon is not only politically burdensome for both conservative and labor parties but completely intractable problem for both of them. In Europe populist parties emerged out of right this interstice with reckless redistribution policies. Redistribution is likely to frame both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in November 2016 and the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n December 2017. A few advanced European countries have been fortunate enough to have a special set of political structures that hand over quite generous compensations to low-income classes. But it cannot be duplicated elsewhere. Whereas a lot of advanced countries have been introducing a sharp increase in minimum wage to combat income polarization. Korean opposition party also has been trying to do so. But in longer term this policy is likely to inflict adverse effect on economic growth and jobs. The U.S and the British have been making workers shareholders of the companies they work for to overcome income polar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