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92년 한중 국교 수립 이후, 양국관계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제반 분야에 있어서 모두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하여 왔다. 특히, 2008년 양국 관계를 ‘전면적 협력동반자 관계’에서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로 격상시키기로 합의함으로써 양국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군사 등 양국 관계 뿐 만 아니라, 지역 및 국제무대에 있어서의 협력도 포함하여, 양국 간의 협력 관계를 ‘전략적 수준’으로 격상하게 되었다. 현재 중국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그리고 경제적 상호협력 증진 및 동아시아에서의 협력 강화에 공동이익을 두고 대한 정책을 ‘전면적 협력 동반자관계’ 발전에 더욱 주력하고 있다. 중국의 제5세대 지도자 시진핑은 과거보다 전략적이고, 주도적이며, 대담한 대외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도 기존의 임기응변적인 대응이나, 경직된 외교기조로 대응해서는 많은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중국의 외교정책과 대한 정책에 대해 분석과 대응책을 수립이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한중간의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성격 및 발전 방향은, 비록 한중이 처한 구조적 조건, 협력의 범위와 수준에서의 한계 등 다양한 논쟁이 제기되고 있지만, 한중 양국이 양자적, 지구적 수준 및 지역적 수준에서의 전략적 성과를 추구해 나가면서 그 협력의 내용을 지속적으로 보완해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향후 한국의 대중정책 추진에 있어서 중국의 한반도 현상유지정책과 한국의 통일정책간의 갭을 최소화해 가는 논리와 정책을 적극 개발해 가야할 것이며, 이와 동시에 한반도 평화와 통일문제에 대한 중국과의 적극적인 대화를 추진해 가야 할 것이다.


hina has promoted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mutual economic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in East Asia as part of the common interest, increasing its efforts to develop 'overall cooperation and partner relations' with South Korea. Chinese foreign policies under Xi Jinping’s leadership are more strategic, active, and audacious, which is extremely difficult to respond to in a provisional or impromptu attitude. Strategic and prudent foreign policies and preparation are required. In this regard, even though there are a lot of debate of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rection of progress of strategic cooperation partnership between Korea and China, in terms of particular structural condition where Korea and China are situated, the characteristic of Korea-Chinese relations will be set by the process of two countries’ strategic cooperation at global, regionaJ, and bilateral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