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뉴미디어의 확산은 선거주체와 선거를 둘러싼 권력구조뿐만 아니라 선거제도 자체가 갖는 의미와 기능을 바꾸고 있다. 정당과 후보자가 선거운동을 주도하였던 근대시기 선거운동과 달리 뉴미디어 선거운동이 일상화된 탈근대 시기에는 선거공약 작성과 지지자 동원에 이르기까지 유권자 네트워크의 역할이 강화된다. 전근대와 근대 그리고 탈근대시기로 넘어오면서 선거 권력의 축은 정당에서 후보자로 그리고 이제는 유권자로 이전되는 양상을 보인다. 산업사회에서 선거는 선출된 대표자에게 스스로 판단하고 통치할 수 있는 수탁자(trustee)의 권한을 부여하는 정치제도였으나, 뉴미디어 시대의 선거는 유권자의 요구를 충실히 대의할 대리인(delegate)을 선출할 뿐이다. 뉴미디어 시대에는 선거나 정당과 같은 정치적 매개제도가 약화되고 시민들의 직접 참여가 활발히 나타난다. 이에 따라 뉴미디어 시대에는 적극적 참여자(player) 역할을 하는 시민들이 통합적(intergrative) 방식에 따라 집합의사를 결정하는 참여민주주의 모델이 보다 높은 친화성을 가질 것이다.


The proliferation of new media is changing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election as well as the power structure surrounding the election campaign. Unlike the modern period in which political parties and candidates took the lead in campaigns, in the post-modern period the role of voters network using new media is enhanced ranging from making election pledges to mobilizing supports. As moving on from pre-modern to modern and to post-modern period, the axis of election power transferred from political party to candidates and to voters. In accordance with the proliferation of new media the institutional meanings of the election is also changing. While the elected representatives had the power of trustee in the industrial society, in the era of new media their role is limited to the delegate who just faithfully represent demands of voters. In the new media era, political intermediary institutions such as election and political party become weak and citizens’ direct participation becomes more active. Therefore participatory democracy will have a higher affinity with the new media era, in which citizen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olicy making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