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적 시청’(social viewing) 개념을 중심으로 예능 프로그램 수용 방식에 나타나는 변화를 설명하고자 기획되었다. 참여적인 관점에서 보면, 시청자들은 방송이 시작된 초장기에는 감정적이고 수동적인 모습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을 수용하였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시청자들은 온라인 프로그램 게시판을 통해 제작진에게 의견을 전달하기도 하고, 같은 프로그램 시청자끼리 연대하여 온라인 팬덤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모바일 미디어의 발달로 문자투표나 전화 등을 통한 직접 참여의 기회가 수시로 제공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청 형태의 발달과 함께, 시청자들이 수동적이며, 고립되어 있고, 감성적이며, 사회적 이슈에 무관심한 관객(audience)으로부터 능동적이며, 연계되어 있고, 이성적이며, 사회비판적 성격을 지닌 공중(public)으로 변화되고 있음에 주목한다. 이러한 시청자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시청 기제로 본 연구는 사회적 시청을 제시한다. 사회적 시청은 온라인으로 매개된 공간에서 상호 대화하며 같은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새로운 시청 방식이다. 사회적 시청은 공적 이슈에 대한 토론을 유도하고, 공동체적 성격을 창출하고, 감정보다 이성적 시청을 가능하게 하고, 시청자들을 능동적으로 만들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사회적 시청의 성격을 공론장 참여로 확대해 추가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development of audiences of entertainment television programming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of ‘social viewing.’Audiences were considered passive and emotional when television was first introduced. Since the internet became prevalent, audiences began to give feed back to television producers by writing their opinions on internet bulletin boards. Some audiences formed online fandoms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online forums. Mobile media also enabled audiences to become more active. Audiences could express opinions in live entertainment shows by sending texts, or vote their favorite candidate in live competition shows. Recently, a large number of people are chatting with people who are watching the same show through SNS channels while watching television. This phenomenon is defined as ‘social viewing’ in this study. This study argues that social viewing turned audiences, who were considered passive, isolated, emotional, and ignorant of social issues, into publics, who are active, connected, rational, and sensitive to social issues.In short, this study argues for the possibility of audiences to become ‘audience public’ through social view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