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장애 관련 직접 및 간접 경험이 장애 인식 및 통합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예비교사 386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직접 경험의 내용은 통합교육 참여 경험, 장애인과의 활동 경험 그리고 장애 친구 및 친척의 유무로 설정하였으며 간접 경험의 내용은 영화나 책 등을 통한 경험을 포함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장애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척도는 오원석(2011)의 연구에서 활용한 장애인에 대한 불편함 인식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통합교육 태도는 Wilczenski(1992)가 개발한 ATIES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예비교사들의 장애 인식은 대체로 양호한 수준이며, 성별이나 전공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리고 통합교육 태도에 있어서 행동장애학생과 중도장애학생의 통합에 대해서는 부정적 태도를 보였으나 경도장애학생의 통합에 대해서는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또한 직접 경험과 간접 경험 정도와 장애 인식 및 통합교육 태도 간 관계 모형에서는 직접 경험의 정도는 장애 인식 및 통합교육 태도에 긍정적 상관을 갖지만, 간접 경험은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부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에 따라 예비교사를 위한 특수교육 관련 강의 구성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of disability awareness of prospective teachers and the impact on the attitude of integrated education which was performed on 386 people. Prospective teachers participate in direct experience of integrated education, disabilities and activity experience. The contents of indirect experience included the presence of friends and relatives and even experiences through movies and books. Regarding the preliminary measure of disability awareness for teachers, a research study by Oh Won Seok(2011) utilized recognized scales to measure discomfor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a research study by Wilczenski(1992) utilized ATIES to measure attitudes towards inclusive education. According to a preliminary study on prospective teachers, disability awareness was at a generally good level and differences were observed depending on gender or majors. The attitude of students regarding behaviorial integration training showed negative attitudes. But, the attitude of the disabled students regarding the integration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showed a positive attitude. In addition, the degree of direct experience in disability awareness and inclusive education had positive attitudes. On the contrary, indirect experience attitudes about inclusive education presented as having negative correlation. But, prospective teacher special education related lecture configuration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direct experience. These on-site observations of integrated classes gives a more desirable opportunity to have hands-on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