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08년 촛불시위에서 드러난 대중의 모습은 이제까지 보던 것과는 매우 달랐다. 그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접합하고 ‘예술을 정치화’하고, 제도권 정치를 희화화하면서 창발적으로 행동했다. 미국산 쇠고기수입에 반대하는 대중 시위는 정보사회에서 대중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보여주었다. 대중은 광장에서는 촛불을 든 시민으로 나타나고 인터넷 아고라에서는 정보로 등장했다. 이 글에서는 육체와 정보를 결합한 이러한 대중이 어떻게 탄생했고 그 성격이 무엇인가를 대중형성론의 입장에서 살펴본다. 인터넷 활용의 대중화 시대에 전개된 촛불시위는 대중의 형성방식과 성격에서 과거 산업사회의 그것과 다르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정보대중은 현실세계와 사이버세계를 오고가는 대중의 이동속도에 의해 만들어진다. 인터넷을 통해 현실을 재현하면서 동시에 광장에서 촛불이 되는 실천을 통해 현실을 재구성해내던 촛불대중은 현대사회의 행동적 대중의 형성과 실천에 대해 새로운 시야를 열어주었다. 촛불대중은 새로운 ‘출현적 대중’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대중의 힘과 권능이 어떤 모양으로 발현하는지를 보여주었다.


The mass demonstration against the beef import from USA showed us what the new characteristics of the masses is in the information age. The mass appeared as a citizen holding candles in the square and at the same they worked together in front of computer monitors connecting each other. This article would disclos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ass of industrial stage and that of the information age. The candle mass which represented the reality via the internet simultaneously reconstructed it with their praxis in the street. They are not only active spectacle mass who had changed the street scene with their performances but also emergent mass who leads their activity spontaneously. They combined the real society and cyber-space moving with very high accelerated speed. They made connection in the cyber-space and conjunction between real world and cyber-space. This new type of mass combining the internet mediated communication and real world performances is now latent but would come again when the circumstance is prepared for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