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필리핀과 타이에서는 약한 정치사회를 배경으로 강력한 유권자층을 조직한 포퓰리즘 정권이 등장하였다. 이때 정치사회 강화보다는 ‘피플파워’ 정치에 익숙한 시민사회는 도시-엘리트와 연대하여 포퓰리즘 정권의 부패와 같은 민주주의의 결손에 맞섰다. 이에 포퓰리즘 정권의 지지기반인 빈민계급은 헌정주의에 호소하면서 맞대응하였다. 빈민계급은 포퓰리즘 정권으로부터는 포용의 대상이 된 반면 시민사회로부터는 배제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친(親) 포퓰리즘 빈민계급을 시민사회는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계층으로 폄하하였다. 필리핀과 타이에서의 포퓰리즘은 그간 과소대표되었던 사회적 약자집단의 대표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한 반면 시민사회는 역설적이게도 1달러 1표 민주주의를 1인 1표 민주주의로 바꾼 근대민주주의의 기본이념을 부정하는 보수성을 보여주었다. 필리핀과 타이에서의 민주주의의 후퇴 는 포퓰리즘보다 포퓰리즘에 대항하기 위해 보수적 엘리트 집단과 결탁한 편의주의적 시민사회와 더 친화력이 높았다고 볼 수 있다.


In the Philippines and Thailand populist regimes emerged when political societies were not strongly consolidated. The civil societies took position against the corrupt populist regimes through making an alliance with urban-elite sector, which was regarded as the civil society opposition movement’s effort for addressing democratic deficit. However the poor who were the strong supporter of populist regimes rose up in the major opposition against new governments that had replaced populist regimes. In this context we can say that while the poor were excluded by each civil society, they were co-opted by the populist regimes in the Philippines and Thailand. While these populist regimes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underrepresentation of the poor, civil societies took an action against the principle of modern democracy which institutionalized one-man one-vote democracy instead of one-dollar one-vote democracy. In sum democratic reverses in the Philippines and Thailand had a deep affinity not with populist regimes but with short-sighted and opportunistic civil societies in alliance with the conservative elite groups for overthrowing populist reg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