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노동패널조사 2∼12차년도 자료를 합동자료(Pooled Data)형태로 가공하여 부모의 사회계층에 따른 자녀의 노동시장 성과와 결정요인을 규명해 보는데 있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사회계층에 따른 자녀의 노동시장 성과를 직업지위점수(ISEI)와 월평균 근로소득으로 비교해본 결과 전문관리직 및 고용주 자녀의 직업지위 평균점수가 자영업자, 숙련 노동자, 비숙련 노동자 자녀에 비해, 사무직 노동자 자녀의 직업지위 평균점수가 자영업자, 숙련 노동자, 비숙련 노동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평균 근로소득의 경우 전문관리직 및 고용주 자녀가 비숙련 노동자 자녀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사회계층에 따른 자녀의 직업지위와 근로소득 결정요인을 분석해본 결과, 자녀의 직업지위에 대해서는 부모의 계층지위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자녀의 근로소득 결정에 있어서는 부모의 계층지위보다 부모의 소득이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와 자녀 사이에 소득과 직업지위가 독자적인 세대승계 효과를 갖고 있는 것이 확인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부모의 거주 지역에 관한 자녀의 직업지위 및 근로소득 효과는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수도권에 거주하는 부모의 자녀들이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부모에 비해 직업지위 및 근로소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at clarifying the performance in youth labor market entry and determinants depending on social classes of their parents, using pooled data processed from 2nd∼12th year of the Korean Labor Panel Survey.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hildren’s performance in labor market entry, based on International Socio-Economic Index (ISEI) and monthly average salaries (income), revealed that the mean occupational status score of executives and employers was higher than that of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skilled workers, and unskilled workers. In addition, the mean occupational status score of white-collar work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skilled workers, and unskilled workers statistically. Furthermore, when monthly average salaries (income)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performance, children of executives and employers were receiving much higher incomes than those of unskilled worker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children’s occupational status and earned income in relation with their parents’ social class, parents’ hierarchical status worked importantly in determining children’s occupational status. On the other hand, in determining children’s earned income, parents' income exerted more determinative influence than parents’ hierarchical status.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it proves income and occupational status do have the effects of independent generation success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ird, the place where parents are living do have distinctive effects on children’ occupational status and earned income, and the children whose parents were living in the capital area showed higher occupational status and earned income than the children whose parents were living in the non-capital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