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약 20여 년 동안 우리 사회에는 소득, 자산, 주거, 교육, 문화, 건강 등 불평등의 여러 차원들이 독립적으로 대면하는 수준을 넘어 서로가 서로를 강화시키는 구조가 출현하고 있다. 이 글은 다차원적 불평등의 체계화를 다중격차라는 개념으로 포착하고 속성을 밝히고자 한다. 다중격차는 다양한 불평등 영역이 상호강화를 통해 개별 불평등의 작동 방식과는 독립적인 작동 방식을 갖춘 불평등의특수한 형태다. 다중격차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다중격차는 불평등 범주 간 상호작용으로부터 도출된다. 둘째, 다중격차는 범주들 사이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나오지만 각 범주가 가진 문법과는 독립적인 새로운 문법을 가진다. 셋째, 다차원적으로 병존하는 불평등은 이익 구조의 변경, 기회 구조의 재편, 수확체증의 실현을 거쳐 하나의 구조로 굳어진다. 넷째, 다중격차는 시공간적으로재생산되는 경향이 있다. 다섯째, 다중격차는 다중격차를 낳은 각 범주들의 논리, 혹은 각 논리들의 합계로 규명되지 않는 환원불가능성을 띤다. 다중격차 개념은 불평등의 원인 규명, 불평등에 관한 접근 방식, 복합적인 불평등의 해명, 정책 실패의 원인 규명, 한국 사회의 진단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개념적 도구다.


In recent two decades multiple inequalities including income, asset, residence, education, culture and health have formed a structure of systemic coupling beyond mere parallel coexistence. The article tries to conceptualize the phenomenon as multiple disparities and to disclose their properties. Multiple disparities are defined as specific form of inequality equipped with independent operation modes different from those of individual inequalities which have given birth to multiple disparities though mutual reinforcement. They hav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y derive from interaction of categories of various inequalities. Second, they have unique grammar discernable from that of individual inequalities. Third, change of interest structure, realignment of opportunity structure, and realization of increasing returns make parallel coexistence of inequalities turn into multiple inequalities as a structure. Fourth, after structuration they reproduce themselves in two dimensions, time and space. Lastly, they bear irreducibility, which means that grammar of multiple inequalities could not be reduced to logic of individual inequalities or sum of their logics. The concept of multiple disparities as a heuristic one is expected to be used to analyze various aspects of inequalities in different perspective including causes and nature of complexity of inequality, policy failure and furthermore diagnosis of Korean society in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