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소득수준에 따라 5분위로 구분하여 주요 소득원과 가장부담이 되는 비용을 분석하고 있다. 본 분석을 위해 독립변수로는 노인가구의 근로소득 및사업소득, 재산소득, 사적이전소득, 공적이전소득, 기타소득이며, 종속변수는 노인가구가 가장 부담을 느끼는 지출항목이다. 가구의 소득은 보통 월 일회 발생하여 응답자가 소득구성항목과 금액을 대부분 정확하게 기억할 수 있는 명목척도인 반면에, 가구의 지출은 지출금액의 변동성이 크고, 지출의 종류 및 빈도도 매우 많아 가장 부담이 되는 항목을 응답하도록한 서열척도이다. 따라서 판별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각 집단의 분산-공분산 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변수들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였다. 판별분석에서는 정준판별식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Cross-validation 추정법에 의해 오분류비율을 추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적중률을 계산한 결과,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하는 적중률은 50.36%였다. 각 소득분위별 오분류비율을 측정한 결과, 적중률은 소득 제1분위는 53.92%, 제2분위는 45.98%, 제3분위는 48.29%, 제4분위는 41.41%, 제5분위는 46.79%로 나타났다. 소득 3분위에서 의료비의 부담이 가장 큰 가구의 공적이전소득과 비교할 때, 소득 1분위와 2분위는 공적이전소득이 각각 월평균 10.58만원씩과 2.3만원씩이 부족하다. 따라서 정부는 적어도 이 규모 이상의 공적이전소득을 소득 1분위와 2분위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main source of income and the highest cost burden according to the five-quintile income level of elderly households in Korea. The discriminant analysis is used for the purpose.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earned income, business income, property income, private and public transfer income, and other income.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highest cost burden of elderly households. We performed the variance-covariance difference test prior to the discriminant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a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variables. In the discriminant analysis, we found the parameter estimates of the canonical discriminant model and estimated the misclassification rate by Cross-Validation methods. The results show that the hit rate in total sample is 50.36%. According to the misclassification rate of each income level, hit rates are 53.92% in the 1st quintile, 45.98% in the 2nd quintile, 48.29% in the 3rd quintile, 41.41% in the 4th quintile and 46.79% in the last quintile. In comparison with the public transfer income of the highest medical expense burden in the 3rd quintile income level, the 1st and 2nd quintile households have insufficient public transfer income of 105.8 thousand and 23 thousand won by monthly each. For this reason, the government, at least, there is a need to provide households of the 1st and 2nd quintile income level in the public transfer income over the scale th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