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이 대미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율의 변동성을 추정하는 방법론의 개선을 통해 환위험이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새로운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는지 보기 위하여, 환율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대용변수를 사용하였는데,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환율의 평가절하(상)율에 대한 표준편차 혹은 AR모형을 이용한 변동성 측정치 이외에 GARCH모형을 이용해 측정한 환율의 변동성을 사용하였다. 변수들간의 장기적인 관계는 Pesaran et al.(2001)이 제안한 ARDL-bounds 공적분 검정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무역수지 방정식의 변수들간에 공적분관계가 성립하고, 원/달러 환율의 절하는 우리나라 무역수지에 통계적으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율의 변동성이 무역에 미치는 영향은 환율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대용변수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환율 변동분의 표준오차 혹은 AR모형을 이용하여 환율의 변동성을 추정한 경우 환율의 변동성이 무역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GARCH(1,1)을 이용하여 추정한 환율의 변동성은 대미 무역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음(-)의 영향을 미쳐, 환율의 불안정성이 무역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won/dollar exchange rate volatility on the trade balance with U.S. We employed ARDL-bounds test approach and found the cointegrating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in the trade equation. Also, depreciation of the Korean won is found to improve the trade balance. However, the impact of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on the trade balance varied depending on the proxy variables used for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Whereas we were not able to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f exchange rate volatility on the trade balance when the proxies for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used were calculated using standard deviation or AR method, we were able to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f exchange rate volatility on trade balance when conditional standard deviation derived from estimated GARCH(1,1) model is used as a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