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소액금융 관련 국내연구는 주로 제도 도입이나 운영에 대한 정책연구가 대부분이며 수혜자에 대한 영향, 특히 가장 빈곤한 계층으로 주목받는 여성에 대한 영향 분석은 거의 없다. 그러나 정부의 미소금융 사업 확대 추진과 대외원조 사업에서의 소액금융 도입 증가 등에따라 소액금융의 영향평가는 매우 중요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영향평가를 하기에 앞서 방법론 및 개발도상국 여성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소액금융에 대한 기존의 영향평가 문헌을 검토하였다. 문헌검토 결과 소액대출은 전반적으로 빈곤해소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 역량강화에 대한 뚜렷한 증거는 보이지 않았다. 방법론에 따라 추정된 영향에 차이가 있으나, 방법론을 불문하고 나타나는 분명한 현상은 대출 수혜자의 특성(소득수준, 교육수준, 사업경험, 대출기간 등)에 따라 소액대출의 효과가 이질적이라는 것이다. 즉, 소액대출이 빈곤층 후생에 미치는 다양한 경로와 형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세부적인 사항들에 대해 더 많은 추가적인 실증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search on micro-finance in Korea has traditionally focused on institutional or policy aspects rather than on rigorous impact analysis. However,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mpact analysis since the Korean government is keen on expanding its micro-finance program and various NGOs as well as official development aid institutions are increasingly adopting micro-financial elements in their aid programs. Before actually conducting an impact analysis, this paper provides a survey on existing impact analyses to provide a broad perspective on current state of affairs, especially with respect to methodology and effect on women in developing countries. The survey shows that while micro-credit's impact on the poor is generally positive, there is no robust evidence that it empowers women. While effects seem to differ depending on methodology used, one clear conclusion irrespective of methodology, is that the effect is heterogeneous with respect to borrower characteristics. Therefore, for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channels and patterns through which micro-credit affects poor borrowers, more empirical studies on specific issues are called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