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미디어와 기호, 그리고 기표와의 관계를 퍼스 기호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 미디어의 기호작용(Semiosis)을 파악하는 것이다. 기호작용을 파악한다는 것은 기호생성과 의미생성, 그리고 의미전달(커뮤니케이션)의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식될 수 있는 구체적인 기호를 생성하려면 추상적이든 구체적이든 간에 그것을 구현하는 매개물(미디어)이 필요한데, 매개물로서 미디어는 기호학적 시각에서 보면 어떤 특정한 물리적인 형태로 기호의 의미를 재생산하고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종의 기표(표현체)로 볼 수 있다. 기표로서 소셜 미디어는 여러 다양성을 융합하며 상호작용을 통하여 집단 혹은 공동체 인식을 형성함으로써 기호의 생성에 관여한다. 소셜 미디어의 이런 속성에 의해서 소셜 기호가 생성된다. 이 소셜 미디어의 의미생성 차원은 개인적인 차원과 사회적인 차원으로 구분되며, 전자에서는 소셜 미디어의 매개적 기능이 강조되고 의미생성에서 해석체가 중심역할을 한다. 반면에 후자의 경우에는 소셜 미디어의 재매개적 기능이 강조되고 집단지성(집단인식)이 의미생성의 토대가 된다. 이 같은 이중적인 의미생성 과정을 기반으로 소셜 미디어의 의미소통(커뮤니케이션)이 진행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semiosis of social media through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media, signs, and signifiers, or representamen in a Piercian sense. To understand this semiosis means to grasp syntagmatically the total process of sign and meaning creation, and of communication . A number of findings resulted from this study. First, to create a sign that can be concretely perceived, we need a medium or vehicle, whether it be concrete or abstract. The medium could be semiotically regarded as a sort of signifier that is physically shaped to re-create meanings of a sign and transmit recreated sign meanings. The signifier of social media functions as a unit which represents diversity and is involved in creating signs; it is characterized by a flickering interactive virtual signifier based on pattern and voluntariness. Social media form a social sign, the level of meaning creation of which is into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 In the former category, the mediation function of social media is emphasized and the interpretant plays a key role in meaning creation. In the latter the re-mediation function of social media is stressed, and is based on collective intelligence that we might call a collective interpretant. Based on this double process of meaning creation, communication through social media works to convey mea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