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일반 진화론 논쟁을 배경으로 기호학, 진화인류학, 뇌과학, 동물행태학의 연구결과들을 검토함으로써 상징화 진화의 문제를 다루는 데 목표를 둔다. 먼저 ‘엄격한’ 구조주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현대 언어 인식론에서 생태-진화론적 패러다임이 부상하는 배경을 소개하며, 이런 지적 지형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왜 바이러스로서의 언어 개념이 필요한지 설명한다. 그런 다음 초기 인류가 상징능력을 갖게 된 주요 분기점들을 검토하고, “고정 지시”와 “생산적 지시”라는 두 단계로 나누어 그 진화 과정을 기술한다. 아울러 침팬지들은 왜 사람과 있을 때에만 지시행위를 하는지 그리고 지시할 때 왜 주로 오른손을 사용하는지 살펴보고, 오른손 선호와 대뇌 외측화 그리고 도구 사용 사이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논한다. 마지막으로 거울 뉴런, 언어/몸짓 정보 처리 관련 인지 모델, 소통의 신경-생물학적 토대 등을 토대로 정신이 어떻게 몸의 작용으로부터 발생하는지, 그리고 손이 어떻게 말로 이어지는지 설명한다. 결론부에서는 이기적 유전자 이론을 비판하고 관심 조율 장치로서의 세미오시스 연구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진화의 관점에서 비언어기호는 언어기호만큼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며, 따라서 모국어 습득 과정에 대한 생각을 바꿀 필요가 있음을 역설한다.


This paper purports to deal with evolution of langage which is to be human-specific as well as universal communicative capability. in reviewing results of researches such as semiotics, evolutionary anthropology, brain science, ethology on the background of general evolutionary debate. For that matter, we begin to show limits of the 'rigid' structuralism and explain why the evolutionary research paradigm actually appears in the field of linguistics. This gives us an opportunity to argue for the notion of language as virus. We then talk about principal moments of evolution of symbolization on the basis of two type of reference(fixed reference and productive reference) It is also interesting for us to show why chimpanzees indicate by right hands when they are with human but not with their animal companions. This theme of animal communication provides us with an occasion to discuss relations among right-handedness, cerebral lateralization, and tool-making. In parallel we deal with themes such as mirror neurons, primary iconicity, cognitive models of language/gesture, neurological foundations of communication in order to support that mind comes from body and speech from hands. We finally close the present paper in criticizing the selfish gene theory and in maintaining the necessity for studying semiosis as device of mutual adaptation of at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