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아직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은 현실보다는 이상적 이미지에 맞는 제품을 소유하거나 사용하여 타인의 인정을 추구한다는 점에 초점을 두고, 청소년들이 인터넷 아이템 구매에서 추구하는 구매만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아이템 구매만족의 하위요인은 무엇이며 관련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또한 아이템 구매만족 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며 이것들의 결정요인은 무엇인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질문지를 사용하여 경기도 지역의 남녀공학 중학교 및 고등학교 각각 두 학교를 선정하여 질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총 384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청소년들이 아이템 구매를 통해서 추구하고자 하는 만족은 차별구매만족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충동구매 만족, 무조건구매 만족 등이며 동조구매 만족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들이 고등학생보다 모든 구매만족 추구를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 용돈액이 가장 많은 집단은 차별구매만족과 무조건구매만족을 많이 추구하고, 월 용돈액이 가장 적은 집단은 동조 및 과시구매만족을 많이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은 동조구매만족, 여학생은 차별구매만족을 더 추구하고 성적이 상위권인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5가지 모든 구매만족 추구를 더 많이 하고, 충동/과시/무조건 구매만족형일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동조구매만족형과 충동/과시/무조건 구매만족형의 경우는 구매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고가 구매를 가장 많이 하며, 가상공간 장식 아이템보다는 게임아이템의 구매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터넷 사용시간이 클수록 5가지 모든 구매만족 추구를 더 많이 하고,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충동구매만족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ue to lack of self identity, adolescents often use material possessions to draw social acknowledgement. Especially, adolescents desire items that fit their ideal images rather than their real images. Internet-items are cyber products that provide means of expressing adolescents’ ideal images and these include music skins, icons, wall papers,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internet games. This study examined the satisfaction types of internet- item shopping by adolescent consumers. Specifically, the sub-categories of shopping satisfaction were compared with relating factors. Further, the determinants of internet-item shopping satisfaction types were identified. To study the internet-item shopping satisfact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 coeducational middle- and high-schools in Bucheon. A total of 38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among the five sub-categories of shopping satisfaction (differential, impulsive, unconditional, conspicuous, and confirmatory shopping satisfaction), adolescent consumers pursued the differential shopping satisfaction the most followed by impulsive and unconditional shopping satisfaction. The confirmatory shopping satisfaction was pursued the least. On all sub-categories of shopping satisfaction, middle school students sought higher level of shopping satisfaction than high school students. The shopping satisfaction was related with monthly allowance level, gender, academic performance, internet use time, and parents’ educational level. Those who have the highest level of monthly allowance sought differential and unconditional shopping satisfaction while the lowest monthly allowance group sought confirmatory and conspicuous shopping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