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元天錫의 耘谷詩史에서 詩戱에 해당하는 자료를 개괄하여 그 전반적 양상을 짚어보고, 그중에서도 <許同年仲遠以詩見寄 分字爲韻二十八首>에초점을 맞추어 이 작품이 지닌 희작으로서의 특성과 그것의 詩史的 의미를 조명해본 것이다. 詩戱란 기본적으로 시 짓기의 즐거움을 취하려는 의도에서 산생된 것이지만,한편으로는 시의 문화를 읽어내는 코드가 되기도 한다. 필자는, 현전하는 자료가드문 고려후기 한시 문단의 상황과 관련하여, 원천석의 사례가 한시의 사회적․문화적 기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에 따라 제2장에서는 운곡시사에서 간추릴 수 있는 詩戱의 사례를 모아 그전반적 양상을 정리하였으며, 제3장에서는 <許同年仲遠以詩見寄 分字爲韻二十八首>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이 작품이 간과될 수 없는 시사적 위상과 가치가있음을 증명하였다. 이 독특하고 실험적인 작품은 14세기 한국한시가 일구어나간흥미로운 성과 중에 하나이며, 특히 희작의 역사에서 참신하고도 문학성이 짙은사례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elected, and drew an overall picture of, works of merrymaking game of poetry from Ungoksisa (i.e., Historical Poetry by Ungok), and analyzed them, focusing on the 28 poems written for Heojungwon. These poems take the unique form of playful literary works, which need to be paid careful attention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In Chapter 2, cases of merrymaking game of poetry that can be summarized from Ungoksisa were organized an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explained. In Chapter 3, the 28 poems written for Heojungwon became a focus of analysis, which showed that these poems have important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history of poetry. These poems are one of the interesting achievements of the 14th century Sino-Korean poetry and in particular can be evaluated as a unique and experimental work of poetry in the history of playful Sino-Korean poetry. Merrymaking game of poetry originated from an intention to take the pleasure of composing poems. But it can also be a window into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enjoying poetry. In this context, the works of Won Cheonseok can be said to be important that explain the cultural function of Sino-Korean poetry of the late Koryo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