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근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은 양적․질적으로 크게 발전했다. 학문적으로도 발전을 했고, 학습자 집단도 다양해졌으며, 학습자 수도 증가했다. 본고에서는 그간의 한국어교육의 발전 현황과 한국문화교육의 발전 현황을 점검하고,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이 담당해야 할 역할을 재정립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 등장하는 과제 및 이의 해결 방안 등을 다룰 것이다. 대안의 모색을 위해 앞으로의 한국어교육은 ‘상호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며, 문화교육은 지식 정보의 전달만이 아닌 실제적이고 활용도 높은 사용성 강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제안할 것이다. 상호문화적 접근법(문화 간 의사소통적 접근법)을 대안으로 제시할 것이며, 이는 한국어교육의 역할과 기능을 학습자로 하여금 다른 언어와 문화의 이질성을 풍부하게 경험하게 하여 긍정적인 인성과 정체성을 형성하게 하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하게 할 것이다.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has been growing rapidly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t has seen meaningful development as an academic field; the learner groups are more diverse than before; and the number of learners has increased. This paper aims to: 1) examine the current development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s well as teaching Korean culture; 2) re-think the roles of the two; and 3) discuss the issues/controversies and possible answers to them. I will propose that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future should tak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pproach.' I will also argue that teaching Korean culture should focus more on practical usability of cultural knowledge than knowledge itself. I believe intercultural approach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pproach) is an ideal alternative, which will enable learners to be aware of and have ample experiences with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ultimately to form positive personality and ide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