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소대남편’이 등장하는 사설시조를 분석하여 그 성격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사설시조에는 ‘샛서방, 남의 님, 중, 장사치’ 등 다양한 인물이 기혼녀의 불륜 상대로 등장하는데, 이중 ‘소대남진, 샛서방, 後ㅅ남편’ 등 여러 호칭으로 불리는 인물이 등장하는 사설시조는 여타 불륜담과는 이질적이었다. ‘남의 님’ 등이 등장하는 사설시조에서 시적 화자의 태도는 성적 욕망을 가감 없이 표출하면서도 감춤을 전제로 하였다. 그런데 ‘소대남편’ 등장 사설시조의 시적 화자는 감추기보다는 드러내고 있었다. 상당히 당당한 태도를 보이는 행동과 말을 담고 있었다. 기존 논의에서는 유교질서에 대한 반항 의식에서 이 작품군의 가치를 찾으려 했다. 그런데 ‘소대남편’은 본남편 외에 지속적 관계를 맺는 어느 정도 인정받는 지위에 있었다고 보여 진다. 유교질서에 대한 반항 의식의 발로라기보다는 그 당대 일상적 모습의 한 단면을 극적으로 재구성한 노래 아닌가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는 후속 연구에서 자세히 밝히고자 한다.


This study is analyzing the SaSeolSiJo(辭說時調) which the apperance of paramour and is aimed at discovering the features of the works. SaSeolSiJo is 'paramour, merchant' and so on are various characters appear as the guy whom a girl is meeting of the infidelity. SaSeolSiJo the advent of paramour is different from other infidelity. At the SaSeolSiJo the advent of 'the lover of others', A poetic narrator`s attitude reveals sexual desires, but on the condition of hiding. On the other hand, at the SaSeolSiJo the advent of 'paramour', A poetic narrator`s attitude revealed rather than to hide. Words and actions are open and honorable. Earlier studies found the value of this work at defiance from the traditional Confucian order By the way, I think that 'SoDae Nampyen' is a recognized presence. So this be seen an pieces are dramatically reshaping the normal life. This will be looking in detail in the follow-up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