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유이양문록>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의 양상과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좁은 의미의 상호텍스트성이라는 측면에서 <유이양문록>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의 양상과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좁은 의미의 상호텍스트성은 주어진 텍스트 안에 다른 텍스트가 인용문이나 언급의 형태로 명시적으로 드러나는 것이다. <유이양문록>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의 양상은 <유효공선행록> 연작의 유우성과 <이현경전>의 이현경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자는 가문소설, 후자는 여성영웅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이양문록>에 이 두 텍스트가 소환된 것은 가문소설과 여성영웅소설의 결합을 의미하며 <유효공선행록> 연작을 단편적으로 <이현경전>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통해 <유이양문록>이 여성 중심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유효공선행록>과 <이현경전>은 대중성이 확보된 텍스트로 이 두 텍스트의 소환을 통해 독자들은 <유이양문록>에서 기체험 텍스트를 만나게 된다. 이는 앎이라는 반가움과 신선함이라는 흥미를 유발하여 독자들이 <유이양문록>을 보다 재미있게 느끼도록 하려는 소통전략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the aspects and the meanings of intertextuality represented in Yuiyangmunrok. The intertextuality means the entirety of every knowledge represented between texts in a broad sense and the quotation or reference of other text written in the given text in a narrow sense. In this thesis I analyzed the aspects and the meanings of intertextuality represented in Yuiyangmunrok in respect of intertextuality in a narrow sense. The intertextuality aspects shown in Yuiyangmunrok can be found in Yuwuseong of <Yuhyogongseonhaengrok> series and Leehyeongyeong of <Leehyeongyeongjeon> series. The former is a representative work of Family novel and the latter is a representative work of Female heroic novels. Therefore, to summon the two texts means the combination of Family novels and Female heroic novels. Yuiyangmunrok accepts a Yuhyogongseonhaengrok series fractionally. By contrast, <Yuiyang- munrok> accepts <Leehyeongyeongjeon> actively. Judging from this, I identified that <Yuiyangmunrok> has the woman oriented character. On the one hand, the Yuhyogongseonhaengrok series and Leehyeon- gyeongjeon are the texts whose popularities are assured. By summoning of the two texts, readers will meet a experience text in Yuiyangmunrok. Readers will feel freshness such as the variants of text and be glad to meet the text which has been already read. Therefore, the author of Yuiyangmunrok might have summoned the two texts as the communication strategy to make readable 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