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최적통화지역(Optimum Currency Areas, OCA)이론을 둘러싼 논쟁에서 ‘특화’와 ‘OCA의 내생성’의 이론적 대립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득의 상관관계와 무역 확대 사이의 음의 관계를 상정한 ‘특화’의 관점에서는 최적통화지역의 영구적 유지는 불가능하다. 반대로 ‘OCA의 내생성’ 이론에 따르면 한 국가가 OCA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할지라도 통화동맹에 참가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OCA의 기준을 사후적으로 충족시킨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유럽연합을 대상으로 인플레이션율과 GDP 증가율의 단순상관계수를 추정하고 회원국들의 연간 전체 교역량에서 EU내 교역량의 비중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또한 회원국들의 경기순환의 동시성을 분석하기 위해 GDP 변화를 마코프전환모형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분석들에 따르면 쌍방간의 무역 강도와 경기순환의 동시성이 양의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역내무역의 증가가 동시적인 경기순환을 유도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무역 확대에 따른 ‘특화’의 경향이 필연적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내생성 효과가 지속적으로 특화 효과를 구축할 수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This paper aims at studying the Optimum Currency Area (OCA) theory concerning two distinct paradigm, ‘specialisation’ versus ‘endogeneity of OCA’. Under the view of specialisation, it is impossible to maintain an OCA because of the trade-off between correlation of incomes and extent of trade among members of OCA.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endogeneity of OCA’, countries which join an OCA may satisfy OCA properties ex-post even if they do not ex-ante. In effect, OCA properties evolve over time. In order to an empirical analysis, the paper estimates a simple correlation of inflation rates and the growth rate of GDP, the extent of intra-trade and synchronization of business cycle in the European Union. Given a positive relation between extent of reciprocal trade and synchronization of business cycle, the increase of trade within an OCA may induce the synchronized business cycle. However, considering that an increase of trade should strengthen degree of specialisation, it is not clear whether effects of endogeneity will continually remove those of specialis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