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증권시장도 세계경제의 경향과 마찬가지로 지역화 및 국제화 경향이 두드러짐에 따라 국내 증권시장에 대한 외국자본의 투자 및 투기가 본격화하기 시작하였다. 최근 소버린의 (주)SK주식의 매입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었다고 할 것이다. 즉 최근 (주)소버린 자산운용은 (주)SK의 경영권 확보를 목적으로 (주)SK 주식을 집중적으로 매입하였으나 그 목적을 실현하지 못하고 한국의 증권시장을 떠나고 말았다. 비록 소버린이 그 목적달성에는 실패하였으나 (주)SK로부터 얻은 수익금은 약 1조원이나 된다. 표면적으로 소버린은 (주)SK의 정상적인 경영을 목적으로 한다고 피력하였다. 그러나 단기간에 막대한 이익을 챙기고 한국 증권시장을 떠남으로써 소버린은 (주)SK의 정상적인 경영보다는 소위 적대적 인수합병을 목적으로 (주)SK의 경영권을 확보하려던 속내를 드러냈다고 할 것이다. 적대적 인수합병의 대표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주식의 공개매수이다. 최근 증권시장의 국제화 및 지역화에 따라 우리 증권시장에도 외국자본이 유입됨으로써 많은 기업들이 이미 외국자본에 대한 적대적 인수합병의 대상이 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외국자본은 이를 위하여 주식의 공개매수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우리 기업들은 이에 대한 적절한 방어책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적대적 인수합병의 주무대라고 할 수 있는 미주지역의 공개매수 제도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미주지역의 공개매수제도의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공개매수제도 발전을 위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우리 제도 및 시장의 발전 또한 유도하고자 한다.


We recently faced with the "Sovereign Case," which the foreign investment fund acquired the very much profits from the domestic companies and dumped the companies when the foreign investment fund decided that there were no more benefits of the companies. On August 23, 2005, Sovereign Asset Management Ltd., the Dubai-based private investment fund, sold off its entire stocks in SK Corporation to incur a profit of about 1 trillion won, and left for the Korean securities market. Actually, before the Korean economic crisis in 1997, sovereign Asset Management Ltd. could not buy the stocks of domestic companies such as SK Corp. in the Korean securities market, because we had not joined the trend in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regionalization of the securities markets then. However, after the economic crisis, the Korean government amended the foreign stock exchange regulations and released a new policy for free foreign exchange and foreign investment. Therefore, domestic companies are exposed to the danger of the hostile takeovers from the foreign funds. Tender offers are the most significant tactical development in the corporate takeover arena of the United States, and have been the hottest subject in the legal world of corporations and securities for many decades. This Article introduces and analyzes the tender offer in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the Article assesses problematic issues arising from the tender offer and makes some chances to improve Korean tender offer regulations and securities pract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