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licy reform, industrial transformation, and initial conditions on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changes in 28 transition countries. Our findings are: (i) Asian and CEE transition countries performed better than CIS countries, whil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CEE countries seems to be more prominent compared to that of Asian and CIS countries; (ii) The technical progress proved to be the main source of productivity growth, particularly in CEE countries; (iii) Reform policy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seems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agricultural sector and its changes; (iv) The initial conditions also matter.


본 연구는 28개 체제전환국을 대상으로 정책개혁, 산업구조변화 및 초기조건이 농업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EE 국가들이 아시아나 CIS의 체제전환국들에 비해 농업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성 향상을 이루었으며, 평균적으로 아시아 및 CEE의 체제전환국이 CIS 국가들 보다 높은 생산성을 보이고 있다. (2) 체제전환국, 특히 CEE 국가들에서 농업부문의 생산성 향상은 주로 기술진보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체제전환국에서 정책개혁과 산업구조전환은 농업부문 생산성 향상에 정의 효과를 보였다. (4) 초기조건은 체제전환국 농업부문 생산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