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의 경제적 위상에 비해 국가브랜드가치가 저평가되어 있는 상황에서 일본소비자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소비재제품의 브랜드 신뢰성이 국가이미지와 종속변수(지각된 품질, 지각된 위험, 정보비용절약) 사이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또한, 소비재제품의 브랜드신뢰성이 신용과 전문성으로 적재되는지를 파악하여 국가이미지뿐만 아니라 기업의 향후 브랜드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시장에서 소비재제품의 브랜드신뢰성은 전문성과 신용의 두 가지 하위 차원으로 적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의 국가이미지는 한국제품의 브랜드신뢰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소비재제품의 브랜드신뢰성은 지각된 품질과 정보비용의 절약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소비재제품의 브랜드신뢰성은 지각된 위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브랜드신뢰성은 국가이미지가 지각된 품질, 지각된 위험, 정보비용의 절약으로 가는 경로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해외시장에서 우리나라의 국가이미지 제고전략과 기업들의 브랜드전략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As the Korean economy grows, the brand value of Korean companies such as Samsung, LG and Hyundai Motor has been elevated greatly. Compared to the brand value of Korean companies, Korea's national image is very lowly ranked. In addition Korea's national brand is undervalued compared to economic volum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 to enhance the Korea's national brand in Japanese Market through brand credibility.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ind that brand credibility is consist of expertise and trustworthiness in Japanese market. Second Korea national image positive impact on brand credibility. Third, brand credibility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quality and information cost saving. Finally, brand credibility negative impact on perceived risk. In conclusion, all hypothesis are significant. So these results are very useful to Korea government and Korean compan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