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산출⋅산출모형의 개발 필요성과 함께 산출⋅산출 의존관계에 대한 경제적 성격과 특징을 규명하고자 한다. (2) 산출⋅산출모형에서 산출⋅산출 의존관계를 통하여 소득효과(직접, 간접, 총소득효과), 소득승수, 소득탄력성을 개별적으로 유도하고, 이들 소득지표의 경제적 의미와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다. (3) 산출⋅산출모형을 통하여 개발된 다양한 소득지표들 사이의 차별적인 특성과 경제적 함의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개별 소득지표들의 경험적 활용과 실제적 유용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4) 산출⋅산출모형에서 소득효과, 소득승수, 소득탄력성의 성격 규명을 위하여 한국 경제를 분석 대상으로 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투입‧산출(IO)모형이 갖는 연속적 연결의 문제와 순승수 개념의 한계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산출⋅산출(OO)모형이 개발되었다. OO모형에서는 ① 총산출(χ)과 최종산출(ο) 사이의 인과관계, ② 총산출(χ)과 총산출(χ) 사이의 인과관계, ③ 최종산출(ο-)과 최종산출(ο) 사이의 인과관계를 각각 분석할 수 있다. IO모형에 대한 새로운 대안모형인 OO모형을 통하여 다양한 소득지표(소득효과, 소득승수, 소득탄력성)를 추계할 수 있는 분석 모형을 유도하고, 이들에 대한 경제적 성격과 함의를 경험적 사례 연구로 분석하고자 한다.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paper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We testify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for the effects, multipliers and elasticities for income by sectors in the OO model developed as an alternative of the IO model. (2) We derive individually the analysis models for the effects, multipliers and elasticities through the dependent relationships between total output(χ) and final output(ο). (3) We interpret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analysis models, driven by the author,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and validity for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latest research findings and results from the models of input-output(IO) and final demand-final output(FF) among the economic variables final demand(f), total output(χ), and final output(ο) in the recent economic literature, the output-output(OO) model was originally developed by Gim(2008) to solve the consecutive connection and overestimation problems together based on the output requirements matrix for output . First of all, this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deriving the mathematical(or econometric) models through the dependent and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different indicators of income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s in the real world 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