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의 경영 환경은 국경 없는 무한 경쟁 체제로 돌입하였으며 이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지식이 절실히 요구 되고 있다. 회계학은 실무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한 후에 바로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이 매우 많다. 따라서 회계교육은 경영환경·회계환경의 변화를 반영한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대학 교육 목표에 부합되며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를 중심으로 한 보다 차원 높은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 하지만 가장 기초적이며 필수과목으로 개설하고 있는 회계원론 과정 마저도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상당수 있으며 다음 단계인 심화학습 과정(예컨대 중급회계, 관리회계, 세무회계 등)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로 회계학 기초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도구(예컨대, 컴퓨터, 인터넷)를 활용한 교육 방법과 교육 내용(예컨대, 회계의 순환과정, 계정과목의 학습 등)이 교육만족도와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교육내용(예컨대, 복식부기, 회계의 순환과정 그리고 계정과목)은 교육성과와 교육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positive)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다른 관심변수인 교육도구(인터넷 등)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In the human capital theory, good education will generate better labor force, which is essential to make an economic growth of a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satisfaction of tax accounting education in rapidly changing commercial environment.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by tax accounting students. All Likert-scale variables were standardized before entering them into the factor analysis. The study use the factor score, where multiple items are used to measure a construct. Empirical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 th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are educational contents(e.g., double-entry book-keeping, accounting cycle and a title of account)but educational instruments(e.g., using computers such as the internet)are not significantly of the satisfaction of tax accounting education.


In the human capital theory, good education will generate better labor force, which is essential to make an economic growth of a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satisfaction of tax accounting education in rapidly changing commercial environment.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by tax accounting students. All Likert-scale variables were standardized before entering them into the factor analysis. The study use the factor score, where multiple items are used to measure a construct. Empirical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 th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are educational contents(e.g., double-entry book-keeping, accounting cycle and a title of account)but educational instruments(e.g., using computers such as the internet)are not significantly of the satisfaction of tax accounting education.